* 패닝샷(Panning Shot)
움직이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카메라를 피사체의 속도와
같이 움직이면서 촬영하는 방법입니다.
이 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셔터 스피드!
피사체가 움직이는 속도만큼 느린 셔터 스피드로 촬영해야 효과적!
이 기법에서의 가장 중요한 것은 셔터스피드라고 앞서 말씀 드렸습니다.
그런데 과연 어떻게 셔속을 조절해야 할지에 대한 의문이 들기 시작하는데요.
보통 화각에 따라 계산을 하면 됩니다.
즉 셔속이 빠르면 배경이 흐릿하지 않고 뚜렷하게 잡히고 셔속이
느리면 배경이 날리면서 진짜 이동하는 듯한 느낌이 나게 됩니다.
그러나 무작정 느린 셔속을 감행하면 실제로 뚜렷해야 할 피사체가
흐리멍텅하게 되죠.
그래서 어느 정도 계산을 하고 시작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18-135mm 의 EF-S 렌즈의 경우 실제 135mm 환산
화각에서는 135mm * 1.6 (캐논 크롭바디) = 216mm 가 됩니다.
이 경우 1/216 보다 느린 셔속으로 촬영해야 한다는 이론이 성립됩니다.
그러나 실제로 1/216은 없기에 1/160 정도를 셋팅하고 찍으면 무난합니다.
물론 그보다 느리게 촬영하여 피사체를 뚜렷하게 잡는다면
뒷 배경은 더욱 흐리게 되겠죠?
* 패닝샷의 셔터스피드 설정 방법 = [1/실제 화각] 보다 느린 셔터스피드로 설정
※ 여기서 잠깐! '실제 화각' 이란 무엇인가요?
같은 화각에서 풀프레임은 1:1, 크롭은 1:1.6(캐논 기준)의 환산각을 가집니다.
그러므로 다음의 표와 같이 크롭 바디의 경우 환산각과 실제 화각이
다르게 되는 점을 확인해야 합니다!
패닝샷 촬영의 기본적인 방법
1. 움직이는 피사체와 적당한 화각을 결정하고 반셔터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따라가기를 여러번 연습합니다.
2. 그 다음 피사체를 따라가며 연사로 여러장 촬영합니다.
3. 뒷배경이 날라가는 모션블러 처리가 된 사진을 만날 수 있을 겁니다.
[패닝샷 촬영 노하우]
1. 먼저 모드를 Tv 모드로 맞추어줍니다.
2. ISO 를 100으로 놓습니다.
3. 고속 연사모드로 셋팅합니다.
4. 셔터스피드를 화각을 기준으로 위에 설명된 방법으로 셋팅합니다.
5. 피사체를 따라 다니면서 연사모드로 촬영해 봅니다.
6. 피사체는 뚜렷하나 뒷배경이 모션블러 처리된 좋은 사진을 셀렉!
재미있는 기법이긴 하나 초보자가 촬영에 성공하기 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행착오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좋은 결과물을 위해서는 그 정도 노력은 필요하겠죠! ^^
운행중인 자동차, 날으는 새, 축구와 같은 스포츠 경기, 뛰어다니는 아이의 모습 등
패닝샷을 촬영해보기 좋은 피사체들과 함께 멋진 결과물을 만들어보시길 바랍니다!
'사진촬영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에서 사진을 즐기자(2) (0) | 2018.01.26 |
---|---|
도시에서 사진을 즐기자(1) (0) | 2018.01.26 |
눈 사진 촬영 노하우 (0) | 2018.01.26 |
측광 방법 & 적정노출 노하우 (0) | 2018.01.26 |
번들 렌즈 접사 사진 노하우 (0) | 201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