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굴뚝 한국의 굴뚝 한국의 굴뚝은 표정이 있다 굴뚝에 대한 단상(斷想)은 그것을 보았을 때의 느낌에 따라 다양하다. 전시용으로 복원한 굴뚝은 어쩐지 메말라 보이고 폐가의 굴뚝은 김용철의 시구(詩句)처럼 '목구멍이 까맣게 말라' 보인다. 눈이 휘날리는 들판에 하얀 연기가 피어오르는 외딴.. 전통문화 2020.03.04
성주 한개마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에 위치한 한개마을은 성산이씨가 대대로 살아온 전형적인 동성촌락으로 조선세종 때 진주목사를 지낸 이우가 처음 이 곳에 이주하여 마을을 만들었다. 현재는 월봉(月峯) 이정현(李廷賢, 1587∼1612)의 후손들이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으며, 2007년 12월 31일 대한민.. 전통문화 2019.10.28
대구 육신사 육신사는 어린 왕 ‘단종’의 복위를 꾀하려다 숨진 사육신으로 일컫는 조선 세조 때의 박팽년, 성삼문, 이개, 유성원, 하위지, 유응부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취금헌 박팽년(醉琴軒 朴彭年) 선생만을 그 후손들이 모셔 제사를 지냈으나 선생의 현손(玄孫)인 박계창이 선생의 기일에 .. 전통문화 2019.10.26
달성 삼가헌고택 달성 삼가헌 고택(達城 三可軒 古宅)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이다. 1979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04호로 지정되었다. 달성군 하빈면 묘동은 사육신 중 하나인 충정공 박팽년(1417∼1456) 후손이 모여 사는 순천 박씨 집성촌이다. 삼가헌은 박씨 .. 전통문화 2019.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