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유단(酒道有段) / 조지훈
술을 마시면 누구나 다 기고만장(氣高萬丈)하여 영웅호걸이 되고
위인현사(偉人賢士)도 안중에 없는 법이다. 그래서 주정만 하면 다 주정이
되는 줄 안다. 그러나 그 사람의 주정을 보고 그사람의 인품과 직업은 물론
그 사람의 주력(酒歷)과 주력(酒力)을 당장 알아낼 수 있다. 주정도 교양이다.
많이 안다고 해서 다 교양이 높은 것이 아니듯이 많이 마시고 많이 떠드는 것만으로
주격(酒格)은 높아지지 않는다. 주도에도 엄연히 단(段)이 있다는 말이다.
첫째 술을 마신 연륜이 문제요,
둘째 같이 술을 마신 친구가 문제요,
셋째는 마신 기회가 문제며,
넷째 술을 마신 동기,
다섯째 술버릇,
이런 것을 종합해 보면 그 단의 높이가 어떤 것인가를 알수 있다.
음주에는 무릇18의 계단이 있다.
1. 부주(不酒)
술을 아주 못 먹진 않으나 안먹는 사람 --9급
2. 외주(畏酒)
술을 마시긴 마시나 술을 겁내는 사람 --8급
3. 민주(憫酒)
마실 줄도 알고 겁내지도 않으나 취하는 것을
민망하게 여기는 사람 --7급
4. 은주(隱酒)
마실 줄도 알고 겁내지도 않고 취할 줄도 알지만
돈이 아쉬워서 혼자 마시는 사람 --6급
5. 상주(商酒)
마실 줄 알고 좋아도 하면서 무슨 잇(利)속이 있을때만
술을 내는 사람 -- 5급
6. 색주(色酒)
성생활을 위하여 술을 마시는 사람 --4급
7. 반주(飯酒)
밥맛을 돕기 위해서 마시는 사람 --3급
8. 학주(學酒)
술의 진경(眞境)을 배우는 사람(酒卒) --2급
9. 수주(睡酒)
잠이 안와서 술을 먹는 사람 --1급
10. 애주(愛酒)
술의 취미를 맛보는 사람 --初단
11. 기주(嗜酒)
술의 진미에 반한 사람(酒客) -- 二단
12. 탐주(耽酒)
술의 진경(眞境)을 체득한 사람(酒境) --三단
13. 폭주(暴酒)
주도(酒道)를 수련(修練)하는 사람 --四단
14. 장주(長酒)
주도 삼매(三昧)에 든 사람(酒仙) -- 五단
15. 석주(惜酒)
술을 아끼고 인정을 아끼는 사람(酒賢) -- 六단
16. 낙주(樂酒)
마셔도 그만 안 마셔도 그만 술과 더불어
유유자적하는 사람(酒聖) -- 七단
17. 관주(觀酒)
술을 보고 즐거워 하되 이미 마실 수는 없는 사람(酒宗) -- 八단
18. 폐주(廢酒)
열반주(涅槃酒), 술로 말미암아 다른 술 세상으로
떠나게 된 사람 -- 九단
부주, 외주, 민주, 은주는 술의 진경, 진미를 모르는 사람들이요,
상주, 색주, 수주, 반주는 목적을 위하여 마시는 술이니 술의 진체(眞諦)를
모르는 사람들이다.
학주의 자리에 이르러 비로소 주도 초급을 주고, 주졸(酒卒)이란
칭호를 줄 수 있다. 반주는 2급이요, 차례로 내려가서 부주가 9급이니
그 이하는 척주(斥酒), 반(反)주당들이다.
대주, 기주, 탐주, 폭주는 술의 진미, 진경을 통달한 사람이요,
장주, 석주, 낙주, 관주는 술의 진미를 체득하고 다시 한번 넘어서
임운목적(任運目適)하는 사람들이다.
애주의 자리에 이르러 비로소 주도의 초단을 주고, 주도(酒徒)란
칭호를 줄 수 있다.
기주가 2단이요, 차례로 올라가서 열반주가 9단으로 명인급이다.
그 이상은 이미 이승 사람이 아니니 단을 매길 수 없다.
그러나 주도의 단은 때와 곳에 따라, 그 질량의 조건에 따라 비약이
심하고 강등이 심하다. 다만 이 대강령만은 확고한 것이니 유단의 실력을
얻자면 수업료가 기백만금이 들것이요, 수행연한(修行年限)이
또한 기십 년이 필요할 것이다.(단 천재는 차한에 부재(不在)이다.)
요즘 바둑열이 왕성하여 도처에 기원(棋院)이다.
주도열(酒道熱)은 그보담 훨씬 먼저인 태초 이래로 지금까지 쇠미(衰微)한
적이 없지만 난세(亂世)는 사도(斯道)마저 타락케 하여 질적 저하가 심하다.
내 비록 학주(學酒)의 소졸(小卒)이지만 아마투어 주원(酒院)의
사절(師節)쯤은 능히 감당할 수 있건만 20年 정진에 겨우 초급으로
이미 몸은 관주(觀酒)의 경(境)에 있으니 돌돌 인생사(人生事)
한(恨)도 많음이여!
술 이야기를 써서 생기는 고료는 술마시기 위한 주전(酒錢)을
삼는 것이 제격이다. 글쓰기보다는 술 마시는 것이 훨씬 쉽고 글 쓰는
재미보다도 술 마시는 재미가 더 깊은 것을 깨달은 사람은 글이고
무엇이고 만사휴의(萬事休矣)다.
술 좋아하는 사람 쳐놓고 악인이 없다는 것은 그만치 술꾼이란
만사에 악착같이 달라붙지 않고 흔들거리기 때문이요, 그 때문에 모든 일에
야무지지 못하다. 음주유단(飮酒有段)! 고단(高段)도 많지만 학주(學酒)의
경(境)이 최고경지(最高境地)라고 보는 나의 졸견(拙見)은 내가 아직
세속의 망념을 다 씻어 버리지 못한 탓이다. 주도(酒道)의 정견(正見)에서
보면 공리론적(功利論的) 경향이라 하리라, 천하의 호주(好酒) 동호자
(同好者) 제씨의 의견은 약하(若何)오.
'유머·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한의원 (0) | 2019.10.17 |
---|---|
할아버지의 기나긴 하루 (0) | 2019.10.13 |
단체사진 (0) | 2019.09.28 |
가족나들이 (0) | 2019.09.28 |
전국노래자랑 최초 송해기절시킨 천재가수 (0) | 2019.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