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대구 학생의거(二二八大邱學生義擧)는 이승만 정권 시절인 1960년 2월 28일
3.15 대선을 앞두고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의 독재에 항거하여 대구시에서 일어난 학생의거로,
2·28 의거는 이후 3·15 마산 의거와 4·19 혁명으로 이어졌다.
발단[편집]
민주당 정.부통령 후보인 장면 박사의 유세일 당일은 일요일이었으나
학생들이 민주당 유세장에 못나가도록 당국이 등교 지시를 내린 것이
2·28 대구 학생의거의 발단이 되었다.
사건 개요[편집]
경북고등학교는 일요일인 이날 3월에 있을 중간고사를 앞당겨 친다는
사유로 등교 지시를 하였으며, 대구 시내에 있던 다른 국공립 고등학교 7개
역시 토끼 사냥, 영화 관람과 같은 황당한 이유로 일요등교를 지시한다.
1960년 2월 27일 오후 대구 동인동 이대우 경북고등학교 학생부
위원장 집에 경북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학생 8명은 부당한 일요등교 지시에 항의를 하기 위해 시위를 조직했고,
'백만 학도여 피가 있거든 우리의 신성한 권리를 위해 서슴지 말고
일어서라'는 결의문도 작성했다.
2월 28일 오후 1시 학생 800여 명이 대구 반월당을 거쳐 경상북도청으로
가는 과정에서 다른 학교 학생들이 합류하며 시위대는 커졌고 도중에
유세장으로 가던 장면 박사를 만났을 땐 '만세'를 부르기도 했다.
당시 경상북도지사는 학생들에게 "이놈들은 전부 공산당"이라고 말한
반면, 시민들은 구타당하는 학생을 경찰에게 달려들어 말리고 박수를 쳤고,
치맛자락에 모자를 감춰 학생을 숨겨주는 부인이 대부분이었다.
1,200여명의 학생이 시위에 참여를 했고 그 중 120여명이 경찰에 체포된다.
하지만 경찰은 시위가 번질 것을 우려해 주동자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학생을 석방하게 된다.
2.28 학생의거기념탑 건립
1961년 4월 10일 매일신문이 주관하여 대구시민 성금으로
명덕로터리에 2.28대구학생기념탑을 세웠으며, 1990년 2월 28일
2.28기념탑을 명덕로터리에서 두류공원으로 이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