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0. 12. 16. 흥남,
국군과 유엔군들이 후퇴하고자 부두에서 수송선을 기다리고 있다.

▲1950. 12. 24. 흥남, 유엔군들이 철수 후 부두를 폭파시키고 있다.

▲1950. 12. 19. 묵호. 흥남에서 철수한 장비를
묵호(동해)항에 내리고 있다.
묵호(동해)항에 내리고 있다.

▲1950. 12. 28. 서울, 피난민들이 강추위 속에
한강 얼음을 깨트리며 나룻배로 남하하고 있다.
▲1950. 12. 28. 끊어진 한강 철교. 오른쪽은 임시로 만든 부교.

▲1951. 1. 3. 한강 철교 부근의 언 강을 피난민들이
걸어서 건너고 있다.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중앙청 광화문 세종로 일대.

▲1951. 3. 16.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왕십리 일대.
멀리 고려대학교 건물이 보인다.
멀리 고려대학교 건물이 보인다.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서울역 일대.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중앙청, 경복궁, 수송동,
팔판동 일대.
팔판동 일대.
▲ 1950. 10. 12. 원산. 학살된 시신들.

▲1950. 12. 11. 고단한 피난길.
▲1950. 6. 18. 6.25 한국전쟁 발발 일주일 전
의정부 북방 38 접경에서
미 국무장관 덜레스 (가운데) 일행이 38선 너머
북쪽을 살피고 있다.
(덜레스 오른쪽 신성모 국방장관).
의정부 북방 38 접경에서
미 국무장관 덜레스 (가운데) 일행이 38선 너머
북쪽을 살피고 있다.
(덜레스 오른쪽 신성모 국방장관).
▲ 1950. 8. 15. 이승만 대통령과 신성모 국방장관이
8.15 경축식을 끝낸 후
임시 국회의사당인 문화극장을 떠나고 있다.
신 국방장관은 “아침은 서울에서 먹고, 점심은 평양에서---“ 라고 상대의 전력도
모른 채 큰 소리쳤으나 6.25 발발 후 서울시민은 팽개치고
몰래 서울을 빠져나갔다.
8.15 경축식을 끝낸 후
임시 국회의사당인 문화극장을 떠나고 있다.
신 국방장관은 “아침은 서울에서 먹고, 점심은 평양에서---“ 라고 상대의 전력도
모른 채 큰 소리쳤으나 6.25 발발 후 서울시민은 팽개치고
몰래 서울을 빠져나갔다.
▲ 1950. 7. 29. 경북 영덕,
논두렁에 머리를 처박고 죽은 북한군 병사.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역사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서대문 (0) | 2019.12.22 |
---|---|
그옛날 어려웠던 그시절 귀한자료 (0) | 2019.12.19 |
이순신 장군 동상의 변천사 1968~2019 (0) | 2019.12.16 |
이것이 우리나라 1호다 (0) | 2019.12.16 |
이 남자 배신 없었다면, 임진왜란도 없었다?|‥ (0) | 2019.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