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삼락 (人間三樂)
人間三樂이란 인간이 누리는 세 가지 즐거움을 말합니다. ▶공자의 논어(論語) 맨 앞, 학이편(學而篇)에 나오는 三樂은 -배우고 익히니 기쁘지 아니한가, -벗이 멀리서 찾아 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으면 군자 아니겠는가?" ▶맹자의 人間三樂 - 부모가 살아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 첫번째 즐거움이고, - 하늘을 우러러 보고 사람을 굽어 보아도 부끄럽지 않음이 두번째 즐거움이요. - 천하에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것이 세번째 즐거움이다. ▶노자의 人間三樂 쾌식(快食), 쾌변(快便), 쾌면(快眠) ▶상촌(象村) 신흠(申欽1566~1628)의 三樂은
-문 닫고 마음에 드는 책을 읽는 것, -문 열고 마음 맞는 손님을 맞는 것, -문을 나서 마음에 드는 경치를 찾아 가는 것, ▶다산(茶山)정약용(丁若鏞) 의 三樂은 -어렸을 때 뛰놀던 곳에 어른이 돼 오는 것, -가난하고 궁색할 때 지나던 곳을 출세해서 오는 것, -혼자 외롭게 찾던 곳을 마음 맞는 벗들과 어울려 오는것, ▶秋史 김정희(金正喜)의 (三樂)은 -일 독(一讀), -이 호색(二好色), -삼 음주(三飮酒), 책 읽고, 글 쓰며, 늘 배우는 선비정신, 사랑하는 이와의 변함없는 애정, 벗과 함께 어울리는 풍류, ▶공자(孔子)가 태산(泰山) 기슭을 지나다가 비파를 들고 한없이 즐거운 표정으로 앉아 있는 노인을 만났습니다. 뭐가 그리 즐거우냐고 묻자, 그는 말했습니다. -사람으로 태어난 것, -남자로 태어난 것, -95세까지 장수하는 것을 꼽았습니다. ▶현대인의 人間三樂은 1. 배우는 즐거움 2. 가르치는 즐거움 3. 봉사하는 즐거움 이라고 합니다. 당신이 생각하는 人間三樂은 무엇인가요? 새해에도 건강과 행복이 넘치는 한해가 되시길 ... -옮긴 글-
'지혜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수불반(覆水不返) (0) | 2020.02.14 |
---|---|
아버지의 마중 (0) | 2020.02.10 |
삶의 우선순위 (0) | 2020.02.08 |
외모 콤플렉스 (0) | 2020.02.07 |
한 손으로도 박수를 치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