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름 접힌 바싹 마른 할머니 손과 오동통한 손자의 손. 마치 고목과 새순을 비교하는 듯하다. 실제 아기는 체중의 80%가 물이다. 반면 노인이 되면 수분은 50% 이하로 떨어진다. 성인 남성은 60%, 여성은 피하지방이 많아 55%가 수분이다. 하천의 풍부한 물이 오염물질과 쓰레기를쓸어버리는 것과 같은 원리다. 물이 고갈되면 혈액이 걸쭉해진다. 물을 많이 마시면 피가 맑아져 동맥경화를 줄인다. 나쁜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이 혈관에 끼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땀은 피부를 건강하게도 한다. 이밖에도 배변을 촉진 고, 침을 만들고, 세포를 싱싱하게 보전해 젊어지게 만든다. 몸 세포에는 영양소와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다. 세포 기능은 떨어지고 생명활동도 위험해진다.
화분에 갇힌 식물은 사람이 정기적으로 물을 주지 않으면 시든다. 중년 이후의 인체는 마치 화분에 심은 식물과 같다. 센서가 노화했으니 의식적으로 물을 마셔주지 않으면 소변으로 1.5ℓ, 땀 0.5ℓ, 호흡으로 0.5ℓ정도 사라진다. 설사가 아닌 변에도 하루 0.1ℓ전 의 수분이 들어 있다. 이밖에도 눈물, 체액, 침 등 느끼지 못하는 수분 배출이 0.5ℓ나 된다. 한다. 따라서최소 1.5ℓ를 의식적으로 마셔줘야 한다는 얘기다. 시간은 아침에 일어나서 1잔, 오전 10시쯤 2잔, 오후 2시쯤 2잔, 하지만 고혈압 환자, 동맥경화가 걱정되는 사람은 물 마시고 소변 색깔은 우로크롬이라는 황색 색소로 좌우되는데 따라서 소변량이 많아지면 우로크롬이 옅어 무색에 가까우며, 소변량이 적으면 농축돼 소변이 황색으로 짙어진다. 신장이 수분을 밖으로 내보내지 않도록 열심히 재흡수하고 있다는 증거다. 식사 중에 물을 마시면 위액이 엷어져 염산에 의한 살균 효과나 소화를 방해한다.
하루에 우리 몸에서 배출되는 소변의 양은 얼마나 될까? 생긴 색소와 노폐물이다.
이 피가 섞인 소변은 비뇨 생식기계통의 종양·암·결석 등의 신호탄이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물론 병원을 찾을 것이니 원인은 몸에 수분이 많이 빠져나가 소변이 농축되어 생기는 현상. 이럴 경우에는 수분 섭취를 늘이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치료방법! 이후에도 소변색이 돌아오지20않는다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소변 색이 엷은 갈색이고 피부와 눈동자 색깔까지 황색일 때는
정상인의 소변은 맑고 투명하며, 거품이 생기더라도 양이 많지 않다. 매우 탁하고, 마치 비누를 풀어놓은 듯 거품이 많은 소변이 지속한다면 단백질 성분이 소변으로 빠져 나오고 있다는 신호이므로 즉각 소변에서 과일 향기가 난다면 이는 당뇨병 신호.
|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수(長壽)를 갉아먹는 식사습관 8적[敵] 몰아내기 (0) | 2020.10.18 |
---|---|
가족력을 보면 내 건강이 보인다 (0) | 2020.10.16 |
혹이나 점이 갑자기 생기면 (0) | 2020.10.15 |
누르기만해서 피로 푸는법 (0) | 2020.10.15 |
나이들수록 비만이 무서운 3가지 (0) | 202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