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의 키워드 면역력을 바로 알자
놀라운 사실 하나! 우리 몸에는 매일 1,000여개 이상의
암 세포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모두가 암에 걸리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 몸의 면역력"이라고 말한다.
우리 몸에 침범한 병원체나 독소 등을 면역력은 암세포를 발견하는
즉시 제거해 버리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는 하루에도 수천 개씩 암세포가 생겨나며 면역기능이 떨어졌을 때,
세균이나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침범에 속수무책 당할 수밖에 없다.
★ 면역력 나타내는 내몸의 신호
1. 쉬 피로하다 2. 입안이 자주 헌다.
3. 입술이 갈라진다. 4. 감기에 잘 걸린다.
★ 면역력 저하시키는 주범
우리 몸의 면역력을 담당하는 주역은 백혈구의 림프구이다.
이들이 혈관을 타고 돌면서 각종 침입자를 찾아내 파괴 한다.
그 결과 우리 몸에는 각종 질병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면역력이야말로 내 몸의 수호천사다.
언제나 최고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그러자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특히 단백질의 결핍이 문제가 된다.
비타민 C가 부족하면, 食菌세포능력이 떨어지므로 조심해야 한다.
2. 아연이나 셀레늄 마그네슘 섭취량이 적을 때 필요 이상 많이 섭취해도
문제가 되는 영양소이다.
영양 부족은 면역기능 저하로 떨어진다.
우리 몸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면역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담배 연기 속에 화학물질은 몸의 면역기능을 떨어지게 한다.
3. 수면 부족
잠을 자는 동안에는 뇌속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나온다.
이 호르몬이 우리 인체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호르몬이다.
잠이 부족하거나 수면 습관이 나쁘면 면역력이 떨어져 각종 질병의
발생빈도를 높일 수 있다.
"평소 절도있는 생활과 올바른 식생활 원칙만 잘지킨다면,
얼마든지 내 몸의 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 면역력 쑥쑥 높이는 식사원칙
면역력은 무엇을 어떻게 먹는가에 따라 크게 좌우되고 있다.
내 몸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식탁 위에서 시작돼야 한다."
편식되지 않도록 하면서 골고루 먹는 것이 중요하다.
현미와 배아쌀은 최상의 영양원이다.
현미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B군, 미네랄 등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의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아동들은 콩을 반드시 먹어야한다 ..
녹황색 채소에 풍부한 비타민 A와 비타민 C는 면역세포를 만들어 내고
그 기능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토마토, 당근, 시금치, 살구, 복숭아 등을 적극적으로먹는 것이 좋다.
지방질의 과다 섭취는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주범이다.
고지방 음식물은 면역 기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섬유질이란 인체 내에서 쉽게 소화되지 않는 음식성분을 말한다.
이러한 섬유질은 장내 세균을 조절하고, 신진대사에서 발생된 독성
이온 등을 흡착해서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효능이 있다
면역력을 높이는 데도일정한 기여를 한다.
콩은 밭의 쇠고기라 불릴 정도로 단백질이 풍부하다.
콩은 식물성 단백질이어서 면역기능을 높이는 데 효과작이다
면역력 쑥쑥 높이는 최고의 식품 & 활용법
평소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 최고의 식품이 무엇일까
★ 백익 일해 ; 마늘
최고의 면역 증강 식품이다.박테리아를 죽이고 곰팡이를 죽이며,
바이러스를 죽이고 암세포까지 죽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 양배추
영양 가치가우수한 양배추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비타민도 다량 함유,
면역력을 높이는 최고의 식품 대열에 속한다.
★ 콩
밭의 쇠고기 콩에는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면역기능을
높이는 데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 당근
색이 선명한 당근은 다른 녹황색 채소 중에서 단연 톱이다.
면역력을높이는 데 일조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버섯
식물도 아니고, 동물도 아닌 버섯은 신비한 약효를 갖고 면역력을
높여주는 대표적인 식품으로이다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화'를 일으키는 가장 큰 주범이 무엇인지 알아 보기 (0) | 2021.01.22 |
---|---|
씹지 않아서 발생하는 건강 문제 (0) | 2021.01.22 |
치질과 대장암 초기증상, 어떻게 구분할까? (0) | 2021.01.08 |
75세 이후의 건강? (0) | 2021.01.06 |
배아플때 대처법 (0) | 2021.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