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書畵

오원 장승업 삼인문년도

선바우1 2018. 3. 20. 22:15


오원 장승업 삼인문년도. (吾園 張承業 三人 問年)


 

  

'헛된 싸움'


오원  장승업 (吾園 張承業 1843 ~97)이 그린 

삼인문년  (三人 問年)은 그 잘난 나이 싸음이 얼마나 해묵었는지

알려주는 그림입니다.

제목은 "세 사람 나이를 묻는다"는 뜻이죠.

어느 자리에서 이 그림을 보여주며  주제가 뭐냐고 물었더니

한 분이 기가 막히게 답하더군요.

"혹시 민증 까봐! 아닌가요."

 

노인 셋이 손가락질을 합니다,

누가 나이 많은지 내기하는데, 가리키는 곳이 힌트입니다.

맨 아래쪽 사람이 위로 손짓합니다.

기암괴석이 쌓여있고 파도가 넘실거리는 곳이죠.

그가 말합니다

"난  나이 잊은지 오래돼, 어릴 적 친구만 생각 나,

걔 이름이 반고였어."

반고 (盤古) 가 누굽니까,

천지를 창조하신 신이죠 위에 보이는 바위와 바다가

태초에 그가 만든 세상 모습입니다.

 

가운데 사람이  같잖다는 표정이네요.

그는 집을 가리키며 대꾸합니다.

"한참 어리구만,나는 바다가 뽕밭이  될때마다

나무가지 하나씩 방안에 두었는데,

그가지가 열 칸 집을 채웠네. "상전벽해란  이름을 두고 한말이죠.

작은 산가지가 빽빽이 들어간 집이 보입니다.

허풍이 전입가경  입니다.

 

마지막으로 맨 위 사람이 아이 이르듯이 말합니다.

그는 바로 옆 복사나무를 가리키네요.

"나는   반도(蟠挑)를 먹고  나서  씨를 곤륜산 아래에 버렸지.

지금 그 씨가  곤룬산  높이와 같아. 자네들이야 하루살이지

 "반도는 신선이 먹는 복숭아죠.

삼천년에 한번 꽃이 피고 삼천년 뒤에 열매가 달립니다.

곤륜산 높이는 2천5백리라고 하네요.

참 어지간한 노인네들 입니다.

한마디로 "철들자 철부지" 꼴 아닙니까 .

 

장 자크 루소가 일찌감치 말했지요.

열 살은 과자를 좇고 , 스무 살은 연인을 , 

서른 살은 쾌락을, 마흔 살은 야망을 좇는다고요.

그럼 쉰살은? 욕심을 따라 움직인대요.

연로해도 지혜를 좇기가 어렵다는 뜻 입니다.

참, 한 사람을 빠뜨렸네요. 

노인네들의 입씨름을 흘러들으며 따분한 얼굴로

 앉아있는 어린아이가 누구일까요

아마 삼천갑자 동방삭일 겁니다. 

오원의 그림은 중국 고사를 묘사했는데.

살아도 헛산 사람이 나이를 따진다는

우의가 숨어 있지요.


            

'漢詩·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사/김정희 선생 작품  (0) 2018.03.23
山居秋暝(산거추명)- 王維  (0) 2018.03.20
참된 부처는 평안한 가정 안에 있다   (0) 2018.03.20
조선조 월담 윤의립  (0) 2018.03.18
張承業 삼인 문년도  (0) 2018.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