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링원예

인도 보리수

선바우1 2018. 5. 2. 20:03



인도 보리수


보리수(菩提樹)를 이야기하면서 우리가 잘못알고 있던 사실들을 정리하고

본론으로 들어가야 할 것 같다. 먼저 흔히들 우리나라에서 보리수나무의 열매를

호퇴자(胡頹子)라고 하여 한약에 쓰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원래 우리가

석가모니를 통해 알고 있는 인도 보리수와 종이 다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호퇴자(胡頹子)가 나오는 종은 같은 장미목(薔薇目:Rosales)

이지만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인 반면 석가모니의 인도보리수(pipal)는

뽕나무과(桑科:Moraceae)이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보리수나무는 학명이 Elaeagnus unbellata이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인도보리수(Ficus religiosa)에 대해서 알아보자.
인도

보리수나무는 신성한 무화과(Sacred Fig)라고 하는데 장미목(薔薇目:Rosales),

뽕나무과(桑科:Moraceae), 무화과나무속(榕屬:Ficus), 보수리나무(菩提樹

:Ficus religiosa)이다. 특히 이 보수리나무(菩提樹:Ficus religiosa)를 필발(畢撥)

인도보리수나무(pipal)라 하고 영명은 Sacred fig, bo-tree, peepul이며,

힌디어는 Pipal, 산스크리트어는 Pippala, ashwattha 이다.

속명인 ‘Ficus’는 라틴어의 고어로 ‘무화과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으며,

‘religiosa’는 ‘religion’ 즉, 종교적이라는 의미라는 뜻이고 특히 영명으로 ‘Bo tree’

말고도 앞에서 말한 신성한 무화과‘Sacred fig’라 할 만큼 신성시되는

식물이었던 모양이다.

석가모니(釋尊:Sakyamuni, Buddha) 또는 고타마 싯타르타(Gautama

Siddhartha)가 그 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은 이후 ‘보리수’로 이름이 바뀌

었고 산스크리트어로 ‘보디 드루마(Bodhi druma)’, 또는 '보디 브리크사(Bodhi

vriksa)'라 하는데 ‘브리크사’를 음역한 것이 ‘보리수’이다.

















우리나라 보리수나무









'힐링원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선화  (0) 2018.05.03
오색마삭줄   (0) 2018.05.03
양란(Orchid), 덴파레 (Dendrobium)   (0) 2018.05.02
냉이의 종류와 효능  (0) 2018.05.02
동강 할미꽃   (0) 2018.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