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도
문수보살
대승의 보살가운데 한사람
이보살은 석가가 죽은후 인도에 태어나 반야의 도리를
선양하였다고 하며 항상 반야지헤의 권화처럼 표현되어왔다
반야경을 결집편찬한 보살로도 알려져있다
때에따라서는 경전을 손에 쥔 모습으로 묘사되는 일이 많았다
이보살은 석가모니불의 교화를 돕기 위하여 일시적
권현으로서 보살의 자리에 있는것이다
보현보살
불타의 정도행의 덕을 맡아보는 보살
문수보살과 함께 모든보살의 으뜸이며 형상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크게나누면 6개의 엄니가 난 힌 코끼리를 탄모양과
연화대에 않은 모양의 두종류가 있다
석가여래를 협시하는 경우에는 오른손을 여의 왼손을 여인
으로 결인한다
밀교에서는 금강살타와 같이 생각하며 모습은 왼손에
연꽃을들고 그위에 금을 세웠고 오른손을 삼엽묘선의
인 을 하고있다
제장애보살
보살은 범어 (보리살타)의 약칭으로 깨달음 지헤.
불지를 의미하며 중생을 구제한다는뜻
관음신앙중 8대보살의 한분으로 주존 아래에 위치한다
중생들의 일체 장애를 항복시키는 분으로 모든중생의 어려움을
조속히 굴복시키고 그 고통으로부터 구제한다고 한다
금강장보살
금강계보살가운데 상수보살로 헝겁 16대보살중 한명이다
밀호는 지교금강 입험금강 이며 종자는 바 (Va) 삼매 야형은
4개의 독고저로 우물정자를 이룬 모양이다
몸은 청백색이며 왼손은 주먹을쥐고 오른손 으로는 청련화
를쥐고 그위에 독고저를 올려놓고 있다
대부분의 대승경전에 나오며 특히 (화엄경) 십이지품에서는
여러보살중 의뜸인 상수보살로 삼는다
대세지보살
협시보살 대세. 세지. 득대세지 보살등으로도 불린다
서방극락세계에 있는 지혜및 광명이 의뜸인보살이다
관무량수경 에서는 지혜의빛으로 널리 중생을 비추어
삼도를 떠나 무상한 힘을 얻게하고 발을 디디면
삼천세계와 마군을 항복시키는 큰위세가 있다고 하였다
그 형상은 정수리에 보병을 이고 천관을섰으며 염불하는
수행자를 맞을때는 항상 합장하는 모습이다
미륵보살
석가모니불의 뒤를이어 57억년후에 세상에 출현하며 석가모니불이
구제하지못한 중생을 구제할 미래의 부처
현제는 윤회의 마지막 일생을 도솔천에서 설법하고 있다고 믿어
지고 있다 미륵의뜻은 자비 우정이며 16수행인의 한사람으로
석가모니의 설법을 듣고 불교에 귀의하는 비구로 묘사된다
역할은 석가모니로부터 미래에 성불할것이라는 예언을 받으며
대승경전의 발달후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이며
차원높은 대승불교의 교리를 설법하는 보살로 설정된다
관세음보살
자비로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불교의보살
자비롭게 보는 이 자재로운 관찰 등의 뜻으로 본다면
관자재가 그뜻에 가깝다고 할수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일찍부터 관세음보살로 신앙이 되어
왔으며 관음보살이라 지칭하였다
결국 뜻으로 본다면 관세음이나 관자재는 같으며
물론 그원래의 이름 자체가 하나이다
지장보살
석가모니의 부촉을 받아 임멸한뒤 미래불이 출현하기까지의
무불 시대에 6도의 중생을 교화 구제한다는 보살 지장은
브라마나 시대부터 일장. 월장 . 천장 등과 함께 별의
신으로서 신앙되었다
중국에 들어와 염마시왕 신앙과 결합되고 말법 사상이
활기를 띠면서 지장을 통한 구제를 희구하는 신앙으로 발전하였다
이는 관음 신앙과 더불어 중요한 민간 신앙이 되었다
'불자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청의 종류 (0) | 2018.01.25 |
---|---|
불교문화미술 조각 (0) | 2018.01.22 |
관세음보살의 여러모습 (0) | 2018.01.22 |
십우도 (0) | 2018.01.22 |
산신탱화(山神幀畵) (0) | 2018.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