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자상식

108배의 의미

선바우1 2019. 1. 26. 19:37




108배의 의미



(1)108 번뇌란?

중생의 번뇌 수효가 108개라는 데에서 유래한 것으로 번뇌의

수를 많이 잡으면 8만 4천 번뇌이고, 적게 잡으면 3독 등 다양하다.

이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108번뇌이며 이것을 계산하는 방법

에는 두 종류가 있다.


(2)계산 방법

卍 첫번째 방법

①6진(塵) ×3 (好, 惡, 平等) = 18
②6진(塵) ×3 (苦, 樂, 捨) = 18
이를 합하면 -> 36
③36 ×3 (世 : 과거, 현재, 미래) = 108


卍 두번째 방법

①삼계(三界)의 견혹(見惑) = 88사(使)
②삼계(三界)의 수혹(修惑) = 10혹(或)
③무참(無懺), 무괴(無愧), 혼침(昏沈), 악작(惡作), 뇌(惱),

질(嫉), 도회(掉悔), 수면(睡眠), 분(忿), 부(覆) = 10전(纏)

이를 합하면 -> 108


절은 곧 하심(下心)이다.
또한 자신의 마음을 비우는 작업니다.
물건이 기울어져야 속에 찬 것이 기울어지는 것처럼 몸을

낮추어 겸손한 자세를 갖추면 야만심, 자존심, 이기심, 선입관념,

고정관념을 쏟아낼 수 있다.

108배는 매일 아침에 깨어나서 절을 하는 동안 번뇌를 다스릴

수 있는 좋은 수행법이다. 따로 미용체조를 하지 않아도 좋을 만큼

건강에도 좋다.

성철 큰스님은 평생 108배 수행을 몸소 실천해 오신 분이다.
좌선을 하다 보면 건강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에는 몸의

자세가 바르지 못한 데서도 그 원인을 찾아 볼 수가 있다. 등뼈가

굽거나 자세가 바르지 못한 채 오랫동안 지내면 반드시 따르기

마련이다.

이럴 때 108배 절을 부지런히 하거나 1,080배 혹은 3,000배

절을 올리기를 계속하면 건강을 회복하고 불전 신심이 더욱 굳건

해질 수가 있다.



'불자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간지주의 세부 명칭  (0) 2019.02.09
심우도(尋牛圖)  (0) 2019.02.04
탑(塔)  (0) 2019.01.26
독성각(獨聖閣)   (0) 2019.01.26
심우도(尋牛圖)  (0) 2019.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