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진경산수화]
( 만폭동도 )
조선후기 진경산수화의 창시자인 겸재 정선 (1676~1759)이 금강산의 중심부분인
너럭바위 뒷편을 바라보고 절경중의 으뜸이라 할수있는 경치를 3단구도 형식으로
화폭에 옮겨 놓았습니다. 겸재 정선은 주역에 능통하여 천문 지리에도 밝아
성균관 교수직을 수행하기도 한 인물 입니다.
그림의 구도를 배치할때도 음양오행(인의예지신)에 맞추어 그린 그림이 발견되곤 합니다.
만폭동도 금강산의 신에 해당되는 장소가 너럭바위 부분이기에 잘 표현한
진경산수화인 것입니다 내금강의 여러 봉우리들을 병풍처럼 나열하여 배치하는 화면
구성법을 사용하여 먹의 짙음과 옅음의 차이를 통하여 원근감을 구사한 작품입니다
한 작품은 서울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또한작품은 간송미술관 재단에서
소장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소장인 그림상단 우측에 발문이 적혀있는데 자세히보면
작성자의 낙관이 고개지 라고 희미하게 있음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고개지는 중국(동진)시대 유명한 도연명과 쌍벽을 이르면서 활동한 화가이면서
시인 최고의 문장가의 시귀절이 씌여져있는 것입니다.
(천암경수)
천개의 바위들이 저마다 다투며 서로가 빼어나다고 우쭐대고 있은 형상이며
(만학쟁류) : 일만이천봉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는 뒤따라 내려오는 물줄기에
뒤질세라 거침없이 내닫는다 라고 한시를 표현해 놓았습니다
중국시대 고개지는 365년~ 406년에 활동한 작가로써 우리나라 삼국시대에
해당되는 연도입니다
금강산 관광이 가능해지면 누구든지 이지점 너럭바위 근처에 새겨진 여덟글자
(천암경수 만학쟁류)를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씨체는 겸재 정선의 후원자 장동김씨 김수증이 금강산을 산수유람할때
단원들을 후원하고 인솔하면서 옛날에 고개지가 중국 대륙을 돌아보면서 절경에
감탄하여 쓴 귀절을 겸재 정선의 스승인 김창흡의 숙부 김수증이가 인용하여
적어놓은 일종의 인증샷입니다. 중국에서는 송나라 때부터 문화의 한 장르로
발전 하였답니다
(제암문화) (제벽문화) 바위에 글씨를 쓰고 벽면에 글씨를 쓰는 일종입니다.
이작품은 1734년 겸재나이 58세때 겸현신품첩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漢詩·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獨 笑(홀로 웃다) / 다산 정약용 (0) | 2022.03.23 |
---|---|
정약용(丁若鏞)의 하피첩(霞帔帖) (0) | 2020.04.23 |
허허 그것 참, 이거야 나 원. 정약용(丁若鏞) (0) | 2020.02.23 |
絶命詩(절명시) / 成三問(성삼문, 1418~1456) (0) | 2020.02.02 |
王昭君二首(왕소군2수:중국의 4대 미인) - 이백(李白) (0) | 202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