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업 삼인문년도.
'헛된 싸움'
오원 장승업 (吾園 張承業 1843 ~97)이 그린 삼인문년 (三人 問年)은 그 잘난 나이
싸음이 얼마나 해묵었는지 알려주는 그림입니다. 제목은 "세 사람 나이를 묻는다"는 뜻이죠.
어느 자리에서 이 그림을 보여주며 주제가 뭐냐고 물었더니 한 분이 기가 막히게
답하더군요. "혹시 민증 까봐! 아닌가요."
노인 셋이 손가락질을 합니다, 누가 나이 많은지 내기하는데, 가리키는 곳이 힌트입니다.
맨 아래쪽 사람이 위로 손짓합니다.기암괴석이 쌓여있고 파도가 넘실거리는 곳이죠.
그가 말합니다 "난 나이 잊은지 오래돼, 어릴 적 친구만 생각 나, 걔 이름이 반고였어."
반고 (盤古) 가 누굽니까, 천지를 창조하신 신이죠 위에 보이는 바위와 바다가 태초에
그가 만든 세상 모습입니다.
가운데 사람이 같잖다는 표정이네요.
그는 집을 가리키며 대꾸합니다. "한참 어리구만,나는 바다가 뽕밭이 될때마다 나무가지
하나씩 방안에 두었는데, 그가지가 열 칸 집을 채웠네. "상전벽해란 이름을 두고 한말이죠.
작은 산가지가 빽빽이 들어간 집이 보입니다. 허풍이 전입가경 입니다.
마지막으로 맨 위 사람이 아이 이르듯이 말합니다.
그는 바로 옆 복사나무를 가리키네요. "나는 반도(蟠挑)를 먹고 나서 씨를 곤륜산 아래에
버렸지. 지금 그 씨가 곤룬산 높이와 같아. 자네들이야 하루살이지 "반도는 신선이 먹는
복숭아죠. 삼천년에 한번 꽃이 피고 삼천년 뒤에 열매가 달립니다.곤륜산 높이는 2천5백리
라고 하네요. 참 어지간한 노인네들 입니다. 한마디로 "철들자 철부지" 꼴 아닙니까 .
장 자크 루소가 일찌감치 말했지요.
열 살은 과자를 좇고 , 스무 살은 연인을 , 서른 살은 쾌락을, 마흔 살은 야망을 좇는
다고요. 그럼 쉰살은? 욕심을 따라 움직인대요. 연로해도 지혜를 좇기가 어렵다는 뜻 입니다.
참, 한 사람을 빠뜨렸네요. 노인네들의 입씨름을 흘러들으며 따분한 얼굴로 앉아있는 어린
아이가 누구일까요 아마 삼천갑자 동방삭일 겁니다. 오원의 그림은 중국 고사를 묘사했는데.
살아도 헛산 사람이 나이를 따진다는 우의가 숨어 있지요.
'漢詩·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敬天/안중근 (0) | 2018.03.01 |
---|---|
客夜(나그네의 밤) (0) | 2018.02.26 |
면잠(面箴)/이규보(李奎報) (0) | 2018.02.26 |
단원(檀園) 김홍도가 본 금강산(실경산수) (0) | 2018.02.24 |
조선 名技들의 戀詩 (0) | 2018.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