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불 후불탱화
| ||||||||||||||||||||||||||||||||||||||||||||||||||||||||||||
대법당 목각탱화 자세히 들여다보기 입체감이 뛰어나고 현대적 색감으로 살아있는 느낌을 준다. 마치 금방이라도 툭 튀어나올 것 같은 생동감마저 느껴진다. 이 분들은 누구인가? 그동안 많은 분들이 불보살의 세부명칭을 궁금하게 여겨왔다. 이번에 기획특집으로 제작자와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일일이 조사해 보았다. 불보살 명호는 쉽게 전달하고,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도표를 사용한다.
먼저 대법당 목각탱화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알아보자. 조성된 지 올해로 11년째다. 제작기간은 7개월로 1995년 11월에 불사하여 1996년 6월20일에 점안식을 하였다. 점안법회 때 석주 큰스님을 비롯한 1만여 사부대중이 참여하였다. 2002년도에 한 번 보수를 하였다. 목불(木佛) 조각장 청원(靑苑)스님이다. 청원스님은 부산 강서예술촌ㆍ금강불교조각연구소 대표이자 동국대 경주캠퍼스 미술학과(불교조각) 교수로 계신다. 가로 26m 세로 6m로 당시 언론에서는 동양최대로 보도한 바 있다. 108 불보살이 장엄을 이루고 있다. 목각탱화 속의 인물은 총 116 위(位)이나 상단탱화 네 귀퉁이를 차지하는 사천왕과 단순한 외호상징인 관음탱화 위 천군ㆍ천녀, 신중탱화 위 천동ㆍ천녀를 제외하여 108불보살이다. 탱화 39위=108위)
◆ 토막상식 좌ㆍ우를 가리킨다. 즉 본존불의 오른팔 쪽이 우, 왼팔 쪽이 좌이므로, 바라보는 우리의 입장에서는 항상 좌ㆍ우를 반대로 생각해야 된다.
그러나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양식을 목탱화 또는 목각탱화라 칭하여 왔다.
부처님을 세상에 탄생시킨다고 하여 그런 명칭이 붙었다.
다르다. 여기 소개된 8대보살은 아미타 8대보살의 변형이다. 원래는 준제보살 대신 지장보살 혹은 제화갈라보살이 온다.
가리키나, 넓은 의미로는 부처님의 교설 또는 불교 자체를 의미하는 상징적인 표상이다.
<탱화제작자 청원스님> |
'불상·불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불화 "물방울관음" (0) | 2018.03.25 |
---|---|
[스크랩] 사후 세계를 관장하는 명부 / 시왕(什王) (0) | 2018.03.24 |
고려불화 (0) | 2018.03.24 |
파주 용머리 석불입상 (0) | 2018.03.22 |
泰安磨崖三尊佛像(백제 불상) (0) | 2018.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