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경사진 촬영
눈이 시리게 푸른 코발트블루빛 하늘 담기
사진을 좀 찍다 보면 야경은 꼭 한 번 찍고 싶은 도전거리가 됩니다.
실제로 수많은 포토 갤러리에서 소위 ‘일면’을 차지하는 멋진 작품들 중에는
야경 사진의 비율이 꽤 높지요.
그만큼 야경이 잘 찍었을 경우 눈과 마음을 만족시켜 주는 멋진 소재란 방증
이기도 합니다.
요즘은 내공이 좋은 아마추어 진사님들이 너무 많아 예전만큼 희귀하진
않지만 여전히 야경사진은 낮에 찍은 사진보다 어느 정도 희소성도 갖고 있는
편입니다.
그렇다 보니 야경사진은 쉬이 도전하기 힘든 어려운 영역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야경사진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멋진 야경이 펼쳐진 장소와 카메라를 단단히 고정시켜줄 든든한 삼각대만
있으면 누구나 야경사진은 가능합니다
야경사진의 황금시간대라….
하루 중 어느 때일까요? 채 30분도 안 되는 짧은 시간이지만
해가 지고 난 직후부터 어스름이 완전히 하늘을 뒤덮기 전까지의
시간이 황금시간대랍니다.
짠~한 색감을 원한다면 적정노출보다 약간 언더로 찍어라
사람이 눈으로 보는 것과 다름없는 노출을 ‘적정노출’이라고 하지요.
그래서 뷰파인더로 볼 때 노출계가 -도 +도 아닌 0를 가리키는 조리개와
셔터스피드의 조합으로 찍는 게 당연한 정석입니다.
하지만 풍경사진에서는 적정노출보다 반 스톱 정도 어둡게 노출을 잡아야
하늘의 채도가 살아납니다. 푸르거나 붉은 빛이 더 돋보이는다는 것이죠.
야경사진의 황금시간대에서는 반 스톱이 아니라 한 스톱이나 1.5스톱 정도
노출을 더 언더로 잡는 게 좋습니다.
그래야 하늘의 채도가 확 더 진하게 살아나니까요.
의도적인 노출 언더 설정은 노을 사진을 찍을 때도 마찬가지랍니다.
'사진촬영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법 같은 밤의 낭만을 담다 (0) | 2018.01.19 |
---|---|
인물사진 촬영의 노하우 (0) | 2018.01.19 |
노출모드와 노출보정 (0) | 2018.01.18 |
CANON SLR 상황별 촬영정보 (0) | 2018.01.18 |
[스크랩] 화이트 밸런스 보정기 (0) | 2018.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