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불화

금동보살입상 (국보 제129호)

선바우1 2018. 4. 25. 21:58






금동보살입상 (국보 제129호)


경기도 용인시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높이 54.5㎝의 금동보살

입상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하던 보살상의 양식과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현재는 보살이 서 있던 대좌(臺座)와 머리에 쓰고 있던 관(冠)이 없으며,

왼손은 팔뚝에서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몸에 비하여 머리가 약간 큰 편이고,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자리잡고 있다. 얼굴은 눈 위쪽보다 눈 아래쪽이 유난히 길어 보여

어딘지 모르게 경직된 인상을 풍긴다. 넓은 가슴에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입은 천의(天衣)는 등으로 돌아 양 팔 위로 흘러 내렸는데,

오른손으로 그 가운데 한 가닥을 잡고 있다. 허리 부분에서 한번 접힌

치마는 무릎 위에 드리워지고 나머지는 길게 발목 위에까지 내려오고 있다.

치마의 주름은 U자형의 도드라진 선으로 표현되었는데,

그 기법이 매우 세련되고 아름답다.

통일신라시대의 불상들 가운데서 흔히 이런 양식의 보살상을 찾아볼

수 있는데, 비록 재료는 다르지만 성덕왕 18년(719)에 만들어진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81호)이나 8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굴불사

지석불입상(보물 제121호)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맞고 몸의 형태도 유연한 편이지만 얼굴이나 신체의

표현에서 다소 경직된 느낌을 주는 8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