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일출사진
새해 떠오르는 장엄한 광경을 카메라에 담는다.
카메라가 보편화 된 현 세대에서 새해 첫 일출 관광을 하는 사람들에게 카메라는 필수다.
울산 간절곶, 강릉 정동진, 포항 호미곶, 동해 추암해수욕장 등 일출 명소를 찾는
관광객들의 손에는 저마다 카메라가 들려 있게 마련이다.
하지만 막상 일출 장면은 촬영해 보면 눈으로 본 것과 같은 장관이 연출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광학기기 전문기업 니콘이미징코리아는 30일 새해를 앞두고 일출 촬영을
계획하고 있는 '출사족'들을 위해 일출 촬영 노하우를 공개했다.
먼저 DSLR(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 사용자라면 표준 렌즈와
초망원 렌즈를 따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표준렌즈는 전체적인 일출 분위기를 표현하는 데 적합하다.
해의 크기는 작게 묘사되지만 바다와 구름 등의 전경을 한번에 담을 수 있다.
커다란 해를 사진 속에 연출하고 싶다면 초점거리가 200㎜ 이상인 초망원 렌즈를
사용하면 된다.
태양은 매우 강한 빛을 발하는 피사체이므로, 정확한 노출을 위한 세팅이 필요하다.
감도는 ISO 400으로, 셔터스피드는 1/60로, 조리개는 F5.6~11 정도로
미리 조절해두면 된다.
만약 붉은 색감을 강조하고 싶다면 캘빈 값을 7천~1만으로 맞춰 조리개
우선 모드로 설정해 둔다.
여건상 미리 카메라를 세팅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후보정 작업이 가능하도록
로파일(Raw File)로 촬영하는 것도 기억해 두면 좋다.
물론 촬영 위치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해가 떠오르는 곳 앞에 커다란
바위가 가로막혀 있다면 좋은 구도를 얻기가 어렵다.
일출 촬영을 할 때 평소처럼 뷰파인더로 태양을 직접 보게 되면 강한 빛에 눈을
다칠 염려가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뷰파인더 대신 액정 화면을 보는 편이 안전하고 구도를 잡는 데도 유리하다.
태양 뿐 아니라 해변과 구름, 바위, 나무, 등대 등 전경을 함께 넣어 촬영해야
전체적인 분위기를 담을 수 있다.
'오메가 일출'을 찍을 때는 좋은 장비 뿐 아니라 날씨 조건이 절대적이므로 기상청
등을 통해 미리 남해·동해의 구름의 분포를 확인해야 한다.
오메가 일출이란 해가 떠오른 직후 해의 아랫부분이 바다에 비치며 남은
잔영이 그리스문자 오메가(Ω)와 비슷한 모습을 띤 것을 말하는데, 이 모습을 선명하게
촬영하려면 구름이 없이 맑은 날씨가 돼야 하기 때문이다.
기온이 낮으면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므로 여분의 배터리를 준비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일출·일몰 사진 멋지게 담으려면?
다사다난했던 신묘년이 가고 임진년 새해가 밝아오고 있다.
새해 떠오르는 멋진 해맞이 장면을 기록으로 남겨놓는 것은 어떨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벅찬 감동의 순간을 카메라로 담아보지만 생각만큼
잘 나오지 않는다. 일몰·일출 사진을 멋지게 담는 방법은 없을까.
강양항의 일출
◇사전 준비는 필수...삼각대와 여유 배터리를 준비해라
해넘이·해돋이 시간은 생각만큼 길지 않다.
멋진 장면을 건지려면 그만큼 사전준비는 필수. 먼저 일몰과 일출
사진 촬영시 가급적 삼각대를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으로 빛이 부족한 어두운 공간에서 선명한 사진을 촬영하려면
장시간 노출을 줘야한다. 맨손으로 촬영한다면 흔들린 사진을 얻기 십상이다.
삼각대는 카메라 고정 뿐 아니라 미리 촬영 구도를 잡아놓는데도 요긴하다.
추운 날에는 평소보다 배터리 방전이 빠르다. 집을 나서기 전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됐는지 확인하고, 여유분이 있다면 가급적 가져가는 것이 좋다.
아울러 장시간 외부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추위를 이겨낼 수 있는
방한복이나 장갑도 필수다.
또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출사 장소의 해넘이·해돋이 시간을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좋다. 동이 트는 시간부터 시작해 해가 뜨는 시간까지 생각보다 빨리 지나간다.
일찌감치 전망 좋은 위치(포인트)에 삼각대를 설치하고 대기한다면
명장면을 놓치지 않고 잡을 수 있다.
◇순간을 놓치지 말자...'해'보다는 '전체 구도'를 구상해라
해돋이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적정노출이다.
너무 밝거나 어둡게 나오지 말아야한다.
카메라의 측광모드를 '스팟' 혹은 '중앙중점'으로 맞춘다.
스팟측광의 경우, 떠오르는 해의 옆 하늘을 보고
노출을 측정하면 비교적 노출이 잘 맞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후 노출 잠금 기능을 이용해 다시 카메라 구도를 맞춘 뒤 촬영하면 된다.
노출에 자신이 없다면 한번 셔터를 누르는 것만으로 다양한 노출값의 사진을
동시에 기록하는 '브라켓' 기능도 사용해 볼 만 하다.
수동 촬영 기능이 있다면 조리개값(F)은 가급적 F7~10 사이로 조여 촬영하는 것이 좋다.
화질이 좋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ISO값을 100~40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화이트밸런스는 '일출·일몰' 모드나 색온도 7000K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태양의 붉은 색을 더욱 강조할 수 있다.
아울러 장관에 빠져 무턱대고 카메라 셔터를 누르지 말자. 매번 LCD창을 통해
노출이 제대로 맞았는지 확인해야한다.
일반 콤팩트 카메라 혹은 초보자라면 카메라에 내장된 장면모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자.
'일출일몰' 모드를 선택하면 도움이 된다.
떠오르는 태양을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광각보다 망원렌즈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표준렌즈를 통해 단순히 '해'를 촬영하기보다 주변의 구름이나 갈매기,
지나가는 어선, 해무, 해맞이 인파 등을 고려한다면 보다 인상적인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일출 장면을 배경으로 가족이나 연인사진을 촬영하는 경우라면 플래시를 이용해보자.
일반적으로 해를 등지고 촬영하면 검게 표현되기 때문이다.
일출 촬영시 평소처럼 뷰파인더로 태양을 직접 볼 경우 강한 빛에 눈을
다칠 염려가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사진촬영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움직이는 피사체 촬영 (0) | 2018.01.21 |
---|---|
선명한 사진을 찍는 방법 (0) | 2018.01.21 |
촬영의 비결 25항 (0) | 2018.01.21 |
[스크랩] 사진의 구도 잡는 방법 (0) | 2018.01.21 |
인물사진촬영요령 (0) | 201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