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촬영요령

가을 하늘을 멋있게 찍는 7가지 비결

선바우1 2019. 3. 16. 14:55






파란 하늘을 멋있게 찍는 7가지 비결



첫째,

날씨가 가장 중요하다.

구름 낀 흰 하늘을 파란색으로 만들 수 는 없다. 

흐린 하늘을 넣어서 사진을 찍으면 밋밋한 분위기가 난다.


둘째

 태양을 등지고 찍어야 한다.

자신이 찍으려는 화각의 좌우측에 태양이 걸치게 되면

파란 하늘을 찍기가 힘들다. 태양을 자신의 뒤쪽에 위치하게

하고 정면을 바라봤을 때 보이는 하늘이 가장 파랗게 찍힌다. 

태양이 뒤쪽에 있으면 찍으려는 피사체는 빛을 잘 받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발색 또한 잘 표현된다.


셋째,

파란 하늘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필터를 사용한다.

 PL이나 CPL 필터를 돌리면 편광의 정도가 눈으로 확인된다. 

태양을 등진 상황에서 이 필터를 사용한다면 더욱 강조된 하늘을 표현할 수 있다. 

단 역광이나 흐린 날에는 PL 필터를 아무리 돌려도 하늘은 파랗게 되지 않는다. 

풍경사진가들도 기본적으로 일출, 일몰, 실루엣 사진 같은 경우를 제외하곤

역광을 잘 이용하지 않는다.


넷째

가로보다 세로사진 일 때 파란 하늘이 좀 더 진하게 된다.

땅에서부터 하늘 쪽으로 점점 올라 갈수록, 하늘의 색이 진하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가로 사진일 경우보다 세로 사진일 경우가

더 짙게 표현된다.


다섯째

노출을 약간 언더로 설정하면 채도가 낮아져 색이 더 진해진다. 

반적으로 색들은 노출이 언더가 될 때 진하게 표현되곤 하는데,

하늘 역시 마찬가지다. 그러나 지나친 언더 노출은 피사체의

색을 죽일 수 있으니 삼가해야 한다.


여섯째

광각계열의 렌즈가 파란 하늘 사진을 찍는데 유용하다. 

세로사진이 파란 하늘을 표현하기 더 편한 이유와 같이 더 넓은

화각일수록 파란 하늘이 좀 더 잘 표현 된다. 

그래서 많은 사진가들이 20mm 안팎의 광각렌즈를 사용한다. 


일곱째

땅에서부터 멀어질수록 파란 하늘의 효과가 짙어지므로

로우 앵글일 때 파란 하늘의 효과가 증가한다





'사진촬영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와 사진의 발달사  (0) 2019.06.22
물줄기가있는 이끼계곡 촬영법  (0) 2019.06.06
사진인화 사이즈  (0) 2019.03.10
야경노출값(야간촬영)  (0) 2019.03.02
야경사진 촬영법  (0) 2019.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