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碑)의 기원과 건립 기준
비(碑)의 기원
뚜렷한 문헌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주나라(周; BC 1134~BC 250) 황후의 능을
조성하고 묘광(墓壙)에 시신을 하관할 때 밧줄을 도르래에 걸어 안전하게 내리기 위해
전후에 설치했던 도르래 장치[穿]의 기둥인 비목(碑木) 이비의 기원이라 전해진다.
비는 장례에 사용되던 비목에서 출발하여 비석(碑石)으로 발달하여 후한(後漢)에
이르러서는 유교 이념에 따라 후장(厚葬)과 더불어 크게 유행하면서 수량과 양식 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고, 당(唐)에 이르러 비의 전형(典型)이 된 이수(螭首)와 귀부(龜趺)의
양식이 정형화 되었다.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입비(立碑)가 시작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현존하는
최고의 비석은 낙랑(樂浪)의 점제현 신사비[평안남도 용강군 해운면 성현리]는 AD 85년에
건립되었고, 고구려 광개토대왕 능비(414년), 신라 영일 냉수리비(503년), 태종 무열
왕릉비(661년)가 대표적이며, 고려시대는 탑비(塔碑)가 많이 남아 있다.
점제현 신사비
홍언박(洪彦博; 1309~1363)의 신도비(神道碑)는 백문보(白文寶; 1303~1374)가
찬(撰)한 것으로 이 시기에 조선된 것으로 추정되며, 비석이 가장 많이 건립되고 남아
있는 것은 조선시대의 것이다.
비의 건립 기준
비의 건립은 품계(品階)에 따라 비의 크기와 종류를 구별하였는데 당나라에서는
‘5품 이상은 귀부이수(龜趺螭首)의 비(碑)로, 5품 이하는 비좌원수(碑座圓首)의 갈(碣)’의
형태로 구별하였다.
<가례원류(家禮源流)>(1711년)에 의하면 형태와 크기를 아래와 같이 구분하였다.
왕 : 귀부이수(龜趺螭首) / 이수 높이 97cm, 비신 높이 273cm, 너비 109cm, 귀부 높이 115cm
1품 : 귀부이수(龜趺螭首) / 이수 높이 91cm, 비신 높이 257cm, 너비 103cm, 귀부 높이 109cm
2품 : 귀부인봉(龜趺麟鳳) / 인봉 높이 85cm, 비신 높이 242cm, 너비 97cm, 귀부 높이 103cm
3품 : 귀부천록(龜趺天祿) / 천록 높이 79cm, 비신 높이 227cm, 너비 91cm, 귀부 높이 97cm
4품 : 비좌원수(碑座圓首) / 원수 높이 73cm, 비신 높이 212cm, 너비 85cm, 대석 높이 91cm
5품 : 비좌원수(碑座圓首) / 원수 높이 67cm, 비신 높이 197cm, 너비 79cm, 대석 높이 85cm
6품 : 비좌원수(碑座圓首) / 원수 높이 61cm, 비신 높이 182cm, 너비 73cm, 대석 높이 79cm
7품 : 비좌원수(碑座圓首) / 원수 높이 55cm, 비신 높이 167cm, 너비 67cm, 대석 높이 73cm
신도비는 정1품에서 종2품, 묘갈(墓碣)은 정3품에서 종4품인데 증직(贈職)이 포함
되었으며, 묘표(墓表)는 종5품 이하에서 세운 것으로 판단된다.
'전통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천마총 유물 발굴 41년 만에 공개 (0) | 2019.05.01 |
---|---|
한국의 美 - 툇마루 (0) | 2019.04.29 |
啓明韓學村 (0) | 2019.01.30 |
[스크랩] 낙동강을 굽어 보는 옥연정사 국보 징비록의 산실 (0) | 2019.01.29 |
[亭子기행] 송림(松林)에 묻힌 문일정(聞一亭) (0) | 2019.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