絶命詩(절명시) 成三問(성삼문, 1418~1456) 擊鼓催人命(격고최인명)回首日欲斜(회수일욕사) 黃天無一店(황천무일점) 今夜宿誰家(금야숙수가) 둥둥둥 북소리 울려 내 목숨을 재촉한다 머리 돌려 바라보니 해가 지려 하누나 저승길에는 주막집 하나 없다는데 오늘밤은 내 어느 집에서 묵어갈까
세종대왕의 아들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인 단종을 몰아내고 왕이 됐다. 성삼문 등 사육신들은 세조 즉 수양대군을 죽이고 다시 단종을 복위시키려다 실패하고 능지처참을 당한다. 음력 6월 8일, 처형장에서 죽음을 앞두고 읊은 이 시에서 성삼문의 꼿꼿한 기개와 의연함을 볼 수 있다. 성삼문이 집현전에서 세종의 총애를 받던 젊은 시절에 읊었던 이 시조는 마치 이런 상황을 예측이라도 했던 것 같다. "이 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 고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었다가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 하리라" 三代(삼대)가 멸족 당한 성삼문은 역사에 忠節(충절)의 化身(화신)으로 길이 살아남았으나, 세조의 편에 서서 富貴榮華(부귀영화)를 누렸던 申叔舟(신숙주)는 상하기 쉬운 숙주나물에 그 이름이 전해 온다.
'漢詩·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 The Sun Rises - Ernesto Cortazar (0) | 2019.10.23 |
---|---|
산시청람(山市晴嵐) (0) | 2019.10.23 |
艱飮野店(간음야점)/金笠 (0) | 2019.10.11 |
서양화 심수환 작가의 정감있는 풍경수채화 (0) | 2019.10.02 |
이순신 장군 시/ 청암 고강 (0) | 2019.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