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식품

오미자

선바우1 2018. 2. 6. 19:40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is BAIL)

생약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는 Schizandra chinensis BAIL(Maximowiczia chinensis)

과실이다. 오미자는 낙엽활엽만목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북도 , 충남·북을제외하

고서는 전도(全道)에 분포하며 소련의 사하린지역, 동북중국에 분포한다. 

표고(標高) 200m-1600m에서 자란다고 하나 평지(平地)에서도 잘자란다. 종자번식보다는 

분주(分株)에 의해 보다 잘 번식한다. 

이 식물의 잎은 난형(卵形) 또는 도란형(倒卵形)이며 잎끝은 뾰족하며 거치가 있으며 

엽맥(葉脈)은 뚜렸하게 인식된다.

꽃은 암수이가(雌雄二家)이며 홍백색을 띄고 방향을 풍기며   6-7월경에 개화한다.

과실은 장과로써 과총(果叢)은 수상(穗狀)이며 포도송이같이 줄기에 매달려 있다.

8-9월경에 홍숙하며 서리가 내린 다음에 완전히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말린 것이  

생약 오미자이다.

오미자는 성숙도에 따라 홍색서부터 자색-흑색에 이르고 경년품(經年品)은 과실표면에

분상(粉霜)을 볼 수가 있다. 맛은 시고 떨고해서 여러 가지 맛을 지니기 때문에 오미(다섯

가지맛)라고 이름 지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오미를  

Northern Schizandra 라고 하고(흔히들 북오미자) 중국에서 나오는 것 중에는 Schizandra  

Sphenanthera를 기원으로하는 오미자를 Southern Schizandra 라고 하나 일본에 있어서의  

남오미자는 이것과는 다른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성분약효가 다 다르다. 오미자의 향(香)은 

정유에 의한 것인데 citral, β-chamigrene, β-chamigrenol이며 신맛을 내는 성분은 ci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ascorbic acid 등이며 수렴미를

나타내는 것은 protocatechuic acid이다.

   한편 오미자의 약효의 주요성분은 lignan계 물질들인데 Schizandrin, Schizandrol,

 γ-    Schizandrin, desoxyschizandrin, gomisin A-J, N-Q, gomisin K1, K2, K3, Wuweizi A, B 

등이 들어 있으며 Schizandra sphenanthera 에서 Wuweizisu C, Wuwerzichun B,  

Schsantherin A·B·C·D가 분리되어 약리 시험이 수행되었으며 Schizandra henryi에서는  

Schisanphenol, Schisantherine 등이 분리되었다. 이들 성분중에서 Schisandrin C가 약리 

효과가 강하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이들보다 구조가 단순한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

가 가장 강력한 간기능 강화작용이 있음이 1983년에 밝혀졌다.

 

오미자의 약효는 대단히 다원적(多元的)이어서 이 모든 작용을 총괄해서 adaptogenic  

activities가 있다고 주장되고 있다. 우선 중추신경계에 대해서 흥분효과가 있으며 대뇌의 

활성을 증가시켜줄 뿐만 아니라 심맥계(心脈系)에 대해서도 유효해서 혈액의 순환을 조정한 

다. 성분에 의한 실험에서 보는 바 효과보다는 생약의 추출 엑스트럭트가 더 유효하다는 

보고가 있어 많은 시사(示唆)를 주는 것이라 하겠다. 

gomisin A는 중추신경계에 대해서는 tranqulizing action을 지니고 있다. 오미자는 

거담(祛痰), 진해(鎭海)작용도 지니고 있는데 작용물질은 gomisin A에 의한 것으로 귀결되고 

있다. 분만기 자궁에 작용해서 그 생리작용 을 강화시켜 준다. 즉 자궁평활근을 자극하여 

그 주기적인 수축을 강화시켜주는 작용도 아울러 지니고 있으며 Schizandrin은 진통작용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위액의 분비를 억제 하는 반면에 담즙의 분비는 촉진시킨다. 현재 가장  

문제가 되어 있는 오미자의 약효는 병적으로 상승된 GPT, GOT값을 내려주는 작용이 있어 

간기능의 저하에 대해서 강화적인 약효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기타 정신노동에 의한 과로(過勞)를 풀어주는데 이때 작용하는 물질이 gomisin A 및 반합의  

biphenyl dimethyl Carboxylate 등에 있다는 것이며 브레크만 이 동양약물의 신비를 추구

할 때 이 생약과 인삼을 연구이 대상으로 했던 것은 두고 두고 음미할 일이라 하겠다.

 

      


은행나무(Ginkgo biloba L)

은행나무는 일명 공손수(公孫樹)라고도 불리우는데 은행나무과(Ginkgoaceae)에 속한다.

이 나무는 자웅이주(雌雄二株)의 낙엽교목으로 잎은 부채모양(扇形)을 하고 있을 뿐아니라 암 꽃(雌花)은

이란자대생(二卵子對生)으로 오월에 개화한다. 은행나무는 지질학상으로도 화석 목(fossil tree)으로도

유명해서 Darwin은 살아있는 화석(living fossil)이라고도 절찬한 바도 있다.

은행나무의 발상지는 극동지역 정확하게 말해서 남서(南西)중국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질년대로 따진다면 primary Era에는 ginkgo primigenia가 있었는데 이것이 은행나무과에 속했던

첫 번째 식물인 것으로 알려져 왔고 Secondary Era(쥬라기, 300BC)에는 ginkgo adiantoides가

지구상에 생육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은행나무가 Engelbert Kaempfer에 의해 1710년대에 유럽에 전파되고

1771년 Linnee에 의해서 식물학적 분류가 이루어졌다.

식물의 생태나 또는 그 수형의 독특함에 의해 시(詩)에도 많이 읊어졌고 서양문학사에서 보면

1815년 Goethe시에 은행나무가 등장하고 있다. 중국의약에서는 은행이 매우

다양한 약용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은행을 백과(百果) Ginkgo Semen이라해서 진해, 거담, 천식, 유정(遺精), 자양(滋養)등에 쓰이며

은행잎은 Ginkgonis & Folium 이라해서 관상동맥경화, 흉통(胸痛) 협십증,

심계(心悸), 고혈압, 해소 등에 쓰인다고 했다.

백과에서 분리된 성분은 ginkgoic acid, ginkgol Hydroginkgolic acid. bilobol, ginnol ginkgetin asparagin,

 tannic acid등이 있고 현대약리학에서 파악된 작용은 Antibacterial effect 와 Antifungal effect가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종자에서는 Cyanogenic glycoside와 여러 종류의 amino acid가 들어 있다.

잎에서는 여러종류의 monoflavonoids와 biflavonoid인 ginkgetin이 들어 있고

ginnol, ginnon, n-hexenal, shikimic acid가 분리되고 목부(heart wood)에서는

D-sesamin bilobalid가 분리 보고되어 있다. 은행에 대해 그 전통적인 약효에서

추정(推定)할 수 있는 것으로 은행이 심장이나 폐에 대한 소위 chest expansion에 대단히

유효하다는 고전적인 용법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 잎은 해소증에 대해서 대단히 유효할 뿐만아니라 동상(凍傷)에도 효과가 있다는 기록이 있다.

이와같은 효능은 이 생약속 에는 맥관계에 활성을 지니는 물질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이다.

또 인도의 고전 의약서 (Hindu, aryavedic)에는 은행을 가르켜(soma)라고 지적하고 있는데

이는 장수약 (a-long-lipe elixir)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데도 또한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이것은 은행의 엑스트라트가 PAF-acether에 의해 유기된 혈소판 응집에 대해서

선택적일 뿐만 아니라 매우 강력한 억제효과가 있다는 것이 최근에 알려졌는데

은행나무에 유래하는 PAF-Antagonist는 Ginkgolides로 판명되고 있다.

PAF는 천식, allergy, 기타 shook등의 병태의 발증에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는 사실에 의거해서 고찰해볼 때 은행나무에서 유래하는 PAF-Antagonist인 Ginkgolide가

이와 같은 병태발증에 대해서 활성을 갖는 물질이라는 것이 실험에 의해서 확증되고 있다.

해소나 천식에 효과가 있다는 경험적인 사실과 위에서 언급한

약리학적인 실험 결과와는 일치하는 것이라 하겠다.

은행나무에 지질학적인 고고성이나 그나무의 수형의 수려은 물론이고 또 그가 지니는

천연물질 등을 생각 할 때 은행나무는 수목임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