閑山島夜吟(한산도야음)
이순신(李舜臣)
水國秋光暮(수국추광모) 驚寒雁陣高(경한안진고)
憂心輾轉夜(우심전전야) 殘月照弓刀(잔월조궁도)
한산섬에 가을빛 저문데
추위에 놀란 기러기떼 높구나
근심하는 마음에 엎치락 뒤치락하는 밤에
희미한 새벽달만 활과 칼을 비치누나.
五言絶句(오언절구)로 ‘閑山島夜吟(한산도야음)’이 제목인
이 시는 많은 사람이 愛誦(애송)하는 명시다.
天步西門遠(천보서문원) 君儲北地危(군저북지위)
忠臣爲國日(충신위국일) 壯士樹功時(장사수공시)
誓海魚龍動(서해어룡동) 盟山草沐知(맹산초목지)
讐夷如盡滅(수이여진멸) 雖死不爲辭(수사불위사)
임금님 행차 서문으로 멀고
왕자님네 북쪽 땅이 위태롭구나
충신은 나라 위할날이요
장사는 공 세울 때 아닌가
바다에 맹세하니 물고기가 감동하고
산에 맹세하니 풀과 나무가 알도다
원수의 오랑캐 다 섬멸한다면
비록 죽는다해도 사양하지 않겠노라.
五言律詩(오언율시)로 제목없이 ‘無題(무제)’로 되어있지만
宣祖(선조)가 倭賊(왜적)에 쫓기어 平安道(평안도)로
蒙塵(몽진)할 때 읊은 愛國詩(애국시)다.
'漢詩·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별(送別) (0) | 2018.02.13 |
---|---|
안견 (安堅)의夢遊桃源圖 (0) | 2018.02.12 |
山夕詠井中月 (0) | 2018.02.12 |
杜鵑(두견화) (0) | 2018.02.12 |
참된 부처는 평안한 가정 안에 있다 (0) | 2018.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