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서사용하는 호칭
1. 스님의 호칭 법회를 주관하는 법사이며, 하나의 모임(會, 一家)을 이끌어 가는 큰 어른. 불법을 잘 알아서 어떤 불사(佛事 : 불교의 행사)나 회상(會上 : 모임)의 높은 어른으로 추대된 스님. 선(禪)으로 일가를 이루어서 한 파의 정신적 지도자로 모셔진 스님. 주요 사찰에 주재함을 의미. 총림(叢林)의 조실스님. 원래는 사방 1장(丈)인 방(房) 이란 뜻으로 선사(禪寺)의 주지가 쓰는 거실을 말했는데, 그 뜻이 변하여 선사의 주지를 일컫는 말이 된 것. 사찰에서 돈이나 곡식같은 것을 맡아보는 일이나 그 사람을 말함. 불당을 맡아 시봉하는 소임을 말하며, 예식·불공 등의 법당에서의 예절을 집전하는 스님. 전주(殿主) 스님이라고도 함. 대웅전이나 다른 법당을 맡은 스님을 노전스님이라 하여서, 큰 방 불단을 부전과 구별함. 사찰의 일을 주관하는 스님을 말하는 선종의 용어로 학교에서의 교장, 군청이나 경찰서에서의 군수, 서장에 해당되는 스님. 사찰의 사무를 주재하는 스님. 감사(監寺), 감원(監院) 으로 사찰의 살림살이를 맡는 스님을 말함. 강원에서 경론(經論)을 가르치는 스님을 말하는 것으로, 강사 스님을 높여서 강백(講伯)이라고도 함. 대한불교조계종의 종헌에 의해서 교구본사에 반드시 임명 되어야 할 7명의 소임을 말하는 것. 본사의 경우 포교국장, 기획국장, 호법국장, 총무국장, 재무국장, 교무국장, 사회국장 등이 있음. 일부 규모가 큰 사찰은 이 7직의 일부만 임명하는 경우도 있음. 총림의 모든 규율 ·규칙을 총괄 하는 스님. 선원 대중스님들 중에 연세가 많고 덕이 높으신 스님. 포교일선에서 종사하다 선원으로 들어오신 연세많은 스님. 결재 대중을 통솔하는 소임자 스님. 결재 대중의 모범이 되는 스님. 열중스님을 보필하면서 대중을 통솔하는 스님. 대중스님의 큰방을 정리 정돈하는 스님. 모든 객을 대접하고 안내하는 스님. 선원에 모든 전기를 관리하는 스님. 대중스님들의 풀을 끓이는 스님. 밤중에 순시를 책임지는 스님. 선원밖에 청소를 담당하는 스님. 대중스님들의 건강을 돌보는 스님. 대중스님들의 목욕물을 책임지는 스님. 대중스님들의 세면장을 책임지는 스님. 선원 방 온도를 조절하는 스님. 선원 화장실 청결을 책임지는 스님. 어른스님들을 옆에서 받들어 모시는 스님. 대중스님들을 위해 차(녹차)를 책임지는 스님. 번역한 것이다. 부처의 가르침에 정통하고 교법(敎法)의 스승이 되는 승려를 이른다. 법주(法主)라고도 부른다. 단순히 승려 또는 출가한 남자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 포교사의 역할도 하는 승려이다. 주된 일이 적혀 있다. 새겨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하고, 독(讀)은 경전을 읽는 것, 송(誦)은 경전 글귀나 게송을 암송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解說)은 어려운 교리를 설명하는 것을, 서사(書寫) 는 경전을 쓰고 모사하는 것을 뜻한다. (五種法師)라고 부른다. (善慧地)에 든 보살이 대법사(大法師)가 될 때 갖춰야 하는 열 가지 덕을 말한다. 알리는 사람을 일컫는다. 교단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을 이룬다. 출가수행자들을 위하여 의복과 음식·약 등을 제공하여 수행에 전념할 수 있게 도움을 주었고 불탑 등의 경배 대상을 관리하기도 하였다. 비구들은 관여하지 말 것을 교시하여 출가자들은 오로지 수행에만 전념할 것을 당부하였다. 에서 유래하였다. 많이 등장한다. 호칭으로 쓰였다. 혼동되어 쓰였다. 여자 승려. 팔리어(語) 비쿠니(bhikkuni)를 음역한 것으로, 걸사녀(乞士女)라고도 한다. 식차마나 (式叉摩那)로 있다가 평생 출가 ·수행할 수 있을 것이 인정되면 348계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고, 이 구족계를 받으면 비구니가 된다. 대승불교를 신봉하는 한국 ·중국 ·타이완 ·일본 등지에서는 지금도 비구니가 활약하고 있는데, 특히 한국에서는 비구와 거의 같은 수를 차지한다. 남자승려. 팔리어(語) 비쿠(bhikkhu)의 음역으로, 그 뜻은 음식을 빌어먹는 걸사(乞士) 이다.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는데, 이를 구족계라고 하며, 구족계를 받으면 비구가 된다. 해탈(解脫)의 자리에 머무른다. 비구는 4~5년간 강원(講院)에서 수학하여 교 ·학(敎學)을 익혀야만 한다. (多聞比丘)와 경전을 듣고 외우는 것은 많지 않으나 수행에 전력하는 과천비구(寡淺比丘)의 2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비구(比丘)가 되기전의 수행자. 사미니계라고도 한다. 식사하는 것, 춤과 노래를 보고 듣는 것, 향수를 바르고 몸을 단장하는 것, 절에 들어가 불도를 닦는 이를 뜻하게 되었다. 사람을 반두바라사(畔頭波羅沙)라 하고, 행자라 번역한다"라고 씌어 있다. 속인으로 여러 방면의 일을 돕는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 보통 절에서 밥하는 사람을 칭하는 경우가 더 많다. 번역한 것이다. 불교 경전에는, ‘부처님께서 대중들에게 이르셨다’거나 ‘부처님께서 기원정사 (祈園精舍)에 계실 때 대중을 위해 설법 하셨다’는 말이 자주 나온다. (七部衆)이니 하는 말을 쓰는데, 사부대중은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 등 출가하였거나 출가하지 않은 남녀 신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고, 대중은 출가 여부에 관계없이 부처에게 귀의한 신도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중시 하는 부류를 상좌부(上座部)라 하고, 모든 중생이 평등하고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진보적인 생각을 하는 부류를 대중부(大衆部)라 하였다. 오늘날 에는 그 의미가 변하여 개성이 없는 개인을 가리키거나, 계층적으로는 특권층에 대한 일반서민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가루라(迦樓羅) 등의 신화적 ·공상적 존재도 또한 중생으로 간주되며, 중생은 해탈할 때까지 윤회를 반복한다. 천(天:神)의 육도(六道) 또는 육취(六趣)를 헤아리고 있다. 아직 미혹에 빠진 사람 및 동물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부처 ·보살도 포함하여 중생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 하는 것은 중생에 대한 무한한 자비와 신뢰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優婆塞:거사)·우바이(優婆夷:보살)를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며, 사부중 (四部衆)이라고도 한다. 불교 교단인 승가(僧伽)를 이루는 기본 집단이다. |
'불자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불교인의 신앙생활』 14. 탑돌이 (0) | 2018.01.19 |
---|---|
百八煩惱의 유래 (0) | 2018.01.19 |
사찰의 어원과 의미 (0) | 2018.01.18 |
불교 예절과 의례 (0) | 2018.01.18 |
불교란 깨달은 이의 가르침 (0) | 2018.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