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절하는 순서
① 차렷 자세로 합장한 채 섭니다.
② 합장하고 서 있는 자세에서 그대로 무릎만 꿇습니다.
③ 두 손바닥을 땅에 동시에 댐과 동시에 발등이 땅에 닿도록
꿇어앉을 때 취하는 것과 같은 발 모양을 합니다.
그 다음에는 왼발이 오른발 위에 포개져서 X자가 되게 합니다.
④ 이마를 바닥에 댑니다.
이때 두 손의 간격은 두 손 사이에 머리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벌립니다.
⑤ ④의 상태에서 손을 뒤집어 약간 귀 위로 들어올려
부처님을 두 손 위에 받드는 모습을 합니다.
⑥ 다시 절하는 자세로 돌아와서 머리를 들며
양손을 가슴에 합장자세로 댑니다.
⑦ 그대로 일어나 앉아 합장합니다.
⑧ 일어서서 처음 절을 시작할 때의 자세로 돌아갑니다.
같은 식으로 절을 두 번 합니다.
⑨ 세 번째(마지막) 절을 한 후, 오체투지의 상태에서
잠깐 동안 손바닥을 뒤집어 귀 위까지 올린 다음,
⑩ 엎드린 채 두 손바닥을 모아 합장한 후
머리와 어깨만 잠깐 듭니다.(이것을 고두례(叩頭禮)
또는 유원반배(唯願半拜)라 한다)
▣ 절하는 열가지 공덕
① 아름다운 몸을 받게 되고
② 무슨 말이나 남들이 믿으며
③ 어느곳에서라도 두려움 없으며
④ 부처님께서 항상 보호하시며
⑤ 훌륭한 위의를 갖추게 되며
⑥ 모든 사람들이 친하길 바라며
⑦ 하늘 사람들이 사랑하고 공경하며
⑧ 큰복과 덕을 갖추게 되며
⑨ 명을 마치고는 극락세계 태어나며
⑩ 마침내 열반을 증득한다.
※ 이러한 공덕은 다만 자신의 교만한 마음을 꺾고 지성으로 절할 때 이뤄집니다.
※ 절은 존경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자기 자신을 모두 내맡긴다는 뜻이며,
겸손한 마음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우리들은 오직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절을 해야 합니다. 마음이 어지러운 사람이 절을 많이 하면
어지러운 마음이 가라앉아 참다운 깨달음이 열리게 됩니다
'불자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찰의 구조 (0) | 2018.01.21 |
---|---|
법구 (0) | 2018.01.19 |
‘오신채(五辛菜)'왜 금지하나 (0) | 2018.01.19 |
[스크랩] 0 0 법회 사회 및 집전하는 법 (0) | 2018.01.19 |
십대지옥 (0) | 2018.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