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의 옷을 승복(僧服)이라 한다.
승복이란 승려가 입는 의복으로서 승의(僧衣)
또는 법의(法衣)라고도 하는데,
법의(法衣)라는 말은 일찍이 당나라의 도의(道宜)가 지은
“석문장복의
제의석명편(釋門章服儀 制意釋名篇) 에 나오는 말로써
근래에는 대개 가사와 장삼(長衫)만을 가르키기도 한다.
그러므로 승복이란 "불제자(佛第子로서
그 교리를 믿고 지키며 포교하는
스님의 복식(服食)"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승복(僧服)이란
원래 불교도만이 갖는 가사(袈裟, kasya)를 가리키며,
인도에서는 Ti-Civara 즉 삼의(三衣)였던 것이 후대에 와서는
이 외에 가사 안에 입는 옷까지도
이 승복에 포함되게 되었다.
물론 인도에서도 후대에는
여러 가지 사정 아래 안에 입는 옷들이 생겼지만
차츰 추운지방인 중국 등지로 불교가 전래되면서
특히 승려가 국가의 관직을 맡을 때는
그 관직에 맞는 복장(관복) 위에
가사를 드리우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가사가
인도에서는 단순한 옷이었는데 상징과 양식을 위한
하나의 피착물(被着物)로 바뀌면서 가사 안에 입고 있는
그 나라의 정식복장(正式服裝)이나
혹은 새로이 고안된 복장 따위가
후대로 전승되는 과정에서 점차로 하나의 형식을 만들며,
승복 속에 포함되게 되었고,
나아가서는 그 안에 입는 옷을 비롯하여
바지, 모자 등 승려가 몸에 걸치는 모든 것을
다 승복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흔히 이 가사와 그 안에 입는 옷, 바지, 모자 등을 제외하고
옷으로서는 맨 겉에 입는 옷만을 “장삼(長衫)”이라 하며,
이를 법복(法服) 즉 승복이라고
넓은 의미로 칭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개 이 때에는 가사, 장삼하고 병칭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남방불교에서는
우리 나라처럼 가사 장삼의 구별이 없고
삼의(三衣)와 안에 입는 옷
즉 내의(內衣)를 모두 포함하여
승복, 법의(法衣)로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승복이란
불교도 특유의 복장인 모든 옷으로 외형적으로 보아
불자임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이 승복 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부처님은 원래 승복으로
가사(袈裟)를 제정하여 기본으로 하였다.
당시 인도에서는
가사 하나로 사철을 지나던 승복이었는데
중국에 전래되어 와서
기후와 옷 입은 관습에 따라 상의(上衣)로서
편삼(偏衫) 위에다가 걸치게 되었던 것이다.
이 편삼은 중국 북위(北魏) 때에 혜광(慧光)이
승지지(僧祗支)에다 편수(偏袖)를 붙이고 옷섶을 단 윗옷인데
중국의 선가(禪家)에서 사용하여 내려 온 것으로
편삼에 군(裙)을 합쳐 장삼(長衫)이라 한다.
우리 나라에는 삼국의 중엽 이후부터 고려말까지
약 천년동안 불교문화시대에 법의인 흑장삼(黑長衫)과
붉은 가사가 중국으로부터 전래하여
전통적인 우리 옷 위에 착용하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