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촬영요령

역광 환경에서의 사진 촬영법

선바우1 2018. 1. 14. 14:41



역광 환경에서의 사진 촬영법


역광 환경에서 사진 촬영을 할 경우에 피사체가 어둡게 촬영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다중 측광"모드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기 때문입니다.


"다중 측광" 모드의 경우 화면 전체적인 부분의 빛의 양을 측정하여

적정 노출치를 산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역광 환경에서는

평균적인 빛의 양이 매우 밝은 것으로 측정되기 마련입니다.

왜냐하면, 빛을 받지 못하는 피사체가 차지하는 공간보다

밝은 배경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결국 카메라는 화면이 매우 밝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과다 노출을

막기 위해 조리개와 셔터스피드 값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노출 값을 낮추게 됩니다. 이런 조정은 궁극적으로 화면 전체가

어두운 사진을 만들어내게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역광 환경에서는 "스폿 측광" 모드를 사용하여, 피사체가

받는 빛의 양만을 측정한 후 카메라가 적정 노출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그 산출치를 사용하도록 하여, 노출치를 높인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측광 모드에 따른 노출 측정의 변화는 자동 모드(카메라 모드,

P 모드, S 모드, A 모드)에서만 적용되는 것이며,

수동 모드(M 모드)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측광 모드에 대해서

측광(Light Metering) 모드란, 말 그대로 빛을 측정하는 모드를 말합니다.

여기에서는 여러 가지 측광 모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다중측광모드

이 모드는 아래의 그림에서와 같이 화면의 다섯 군데로부터 광량을

측정하여, 그것의 평균값을 산출한 후 이미지의 적정 노출을

구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산출된 평균 노출치가 너무 밝을 경우에는 조리개와

셔터스피드의 값을 조정하여 전체적인 이미지를 어둡게 

촬영될 수 있도록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노출을 조절합니다.

(수동 모드인 M 모드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중앙중점모드

이 모드는 화면의 중앙 부분만의 광량을 측정하여, 그 밝기를 토대로

적정 노출치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피사체가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중앙중점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폿측광모드

이 모드를 선택하면 LCD 화면의 중앙에 십자모양의 아이콘이 생성되며,

해당 십자모양이 위치한 부분에서만 광량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모드는 피사체와 배경의 밝기에 대비가 심한 역광 환경 등에서

사용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측광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

역광 환경에서의 사진 촬영과 같이 피사체와 배경 간의 노출 차이가

많은 경우에는 측광 모드를 "스폿(spot)"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측광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은 [MENU] 버튼을 누른 후에 오른쪽 또는

왼쪽 화살표 버튼(◀/▶)을 사용하여 "측광 모드" 탭을 선택합니다.

해당 탭에서 위 또는 아래 화살표 버튼(▲/▼)으로 원하는 측광 모드를

선택하면 됩니다.


제품에 따라서 중앙 중점식 측광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자동" 카메라 모드에서는 측광 모드를 선택하실 수 없으니 프로그램 모드

(P 모드), 반자동 모드(A모드, S모드), 수동 모드(M 모드), 또는

장면 선택 모드(SCN)에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진촬영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찍기 기초  (0) 2018.01.14
광각렌즈와 망원렌즈의 특징과 용도   (0) 2018.01.14
배터리의 종류 및 특징   (0) 2018.01.14
적목현상  (0) 2018.01.14
촬영환경에 따른 적당한 촬영 모드.   (0) 2018.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