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촬영요령

배터리의 종류 및 특징

선바우1 2018. 1. 14. 14:43


배터리의 종류 및 특징 

 

 
 

1. 인포리튬 배터리


현재 남아 있는 배터리 잔량 시간을 알려 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LCD좌측 상단에 보시면 현재 15분 또는 60분 등의 촬영 가능한 시간을

알려 주기 때문에 촬영하면서 언제까지 사용가능할 지,

충전을 해 주어야 할 지 등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해주는 배터리입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충전도 가능합니다.

좀더 빠른 충전을 원하시는 경우에는 해당 배터리에 맞는 전용 충전기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2. 니켈 수소 배터리 


일반 알카라인 배터리와 달리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입니다.


모양과 형태는 일반 알카라인 배터리와 유사하지만, 한번 충전 후 사용시간이

길고, 1회용이 아닌 충전 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인포리튬 배터리와 같이 남아 있는 시간 표시가 없고, 현재 카메라

본체에서 어댑터 연결로는 충전이 되지 않습니다.

따로 니켈 수소 배터리를 충전기에 연결하여 충전하시고, 재삽입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남아있는 잔량 표시는 시간으로는 나오지 않고, 대신 빗금으로 표시 됩니다.

핸드폰의 잔량 상태 표시와 유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배터리 소진은 플래시를 사용하시면 플래시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배터리 소모가 빠른 편입니다.  그리고 동영상의 경우는 계속적으로

영을 해야 되기 때문에 정지 사진보다 소모량이 많은 편입니다.

그러므로 남아 있는 시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플래시 사용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하여 주시고, 동영상 촬영시 남은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

하여 주십시오.


가능하면 핸드폰과 같이여유 배터리를 하나 더 확보하셔서

교대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 오래 사용하는 방법과 평균수명  


배터리를 오래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은 사항에 좀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사용시에는 개인적 습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 데, 다 사용하지 않고 충전

하시는 경우가 많으신 경우엔, 몇번의 한번 정도는

거의 다 사용하시고, 충전을 하시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계속적으로 동일한 상태에서 재충전을 하다보면 배터리가 그 상태를

계속 유지 하므로, 나중에는 20%의 량이 남아있어도

그 이하는 인식을 못하고 사용이 안되는 형태로 바뀔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여유 배터리를 함께 준비하시면 촬영하시는 데,

전원이 부족하여 촬영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평균 수명


배터리 평균 수명은 완전 방전, 완전 충전하여 300회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습관에 따라 반정도 사용하시고, 충전하시는 경우, 완전

방전 후 사용하시는 경우 등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지만,

대략적으로 이정도로 산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보관을 별탈 없이 하셨을 경우이며, 보관 방법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특히 배터리의 충격 또는 액체와 접촉(물이 묻는 다거나 빠트리는 경우)은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배터리 보관


베터리 수명은 어떻게 보관하며, 작동 조건이 무엇이냐,

환경이 어떠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TV위나 차안에서 같은 높은 기온상태에서 보관하시면 베터리의 수명을

단축 시킬 수 있습니다.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으실 때는 배터리를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카메라를 끄더라도 배터리가 카메라 안에 있으면 조금씩 방전이 됩니다. 


계속적으로 오랜동안 사용치 않고, 본체안에 넣어져 있는 경우, 만약의 경우

누액이 흘러 배터리와 카메라의 사용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장시간 3일 이상 사용치 않으실 때는 가급적 배터리를 따로 빼내서 보관

하시는 방법을 권장 드리고 싶습니다. 


이게 좀 번거롭다 싶으시면 잠깐만이라도 배터리를 카메라에서 분리했다가

다시 넣는 방법이라도 필요할 것입니다.


'사진촬영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찍기 기초  (0) 2018.01.14
광각렌즈와 망원렌즈의 특징과 용도   (0) 2018.01.14
역광 환경에서의 사진 촬영법  (0) 2018.01.14
적목현상  (0) 2018.01.14
촬영환경에 따른 적당한 촬영 모드.   (0) 2018.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