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한자료

[스크랩] 유리건판 궁궐사진 3. 경복궁 3. 강녕전,교태전 - 1920년대와 2000년대..

선바우1 2018. 2. 1. 18:46
 

유리건판 궁궐사진 3. 경복궁 3. 강녕전,교태전 - 1920년대와 2000년대..

 

강녕전과 교태전은 각각 임금과 왕비의 침전이다.

용에 비견되는 임금의 거처이기때문에 용마루가 있을 필요가 없다.

교태전도 같은 이유로 용마루를 두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용마루가 없는 독특한 지붕 형태를 가진 건물이 되는 것이다.

 

강녕전(康寧殿) 

  

 

 

임금의 침전인 강녕전으로 들어가려면 사정전에서 향오문을 통과하여야 한다.

 

 

 

강녕전에 대해서는 다시 다음 문화원형 사전에서 인용한다.

 

'왕의 침전(寢殿) 중에서 가장 중요한 처소 건물이다.

앞면 11칸, 옆면 5칸의 55칸 규모로 단층 팔작집이다.

 태조 4년(1395) 사정전(思政殿) 북쪽에 세워졌다가 중수를 거쳐

임진왜란으로 불타자 고종 2년(1865)에 중건되었다.

 

이름은 〈서경 (書經)〉의 홍범편(洪範篇)에서 오복(五福) 중 강녕(康寧)에서 따왔다.

왕비 침전인 교태전과 함께 지붕에 용마루를 만들지 않음으로써 침전임을 상징했다. '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에서 양의문 너머 강녕전을 보다.

 

용마루가 없는 강녕전...

 

 

 

 

 

 

 

강녕전 연생전(延生殿)

 

연생전은 강녕전의 동쪽에 있는 부속건물이다.

정도전이 지었다는 연생이라는 말은 봄에 만물이 소생함을 의미한다고 한다.

   

 

 

 

강녕전 경성전

 

경성전은 강녕전을 사이에 두고 연생전의 반대 쪽,

그러니까 서쪽에 위치한 건물로 가을의 결실을 상징하는 의미로서

연생전과 함께 정도전이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연길당(延吉堂)과 응지당(膺祉堂) 

 

강녕전과 연생전 사이,그리고 강녕전과 경성당 사이에는 건물이 하나씩 더 있다.

바로 연길당(延吉堂)과 응지당(膺祉堂)이다.

동 서로 마주보고 있는 연생당과 경성당과는 달리 강녕전과 나란히 남향 건물이다.

유감스럽게도 두 건물의 유리건판 사진은 입수하지 못했다. 

 

(연길당)

 

(응지당)

 

강녕전 행각

 

그리고 강녕전은 사방으로 행각이 둘러싸고 있는데 

남쪽에 위치한 것이 바로 연소당(延昭堂)이다... 

이 역시 유리건판 사진이 없다.

 

 

강녕전 마당에서 본 사정전과 근정전의 뒷모습.

 

 

교태전(交泰殿)

 

교태전은 왕비의 침전이다.

임금의 침전인 강녕전에서 교태전에 가기 위해서는

아래 사진의 양의문(兩儀門)을 통과해야 한다.

 

  

 

 

 

 

교태전도 강녕전처럼 용마루가 없는 건물이다. 

 

 

 

 

 

 

 

 

 

원길헌

 

교태전 동쪽으로 연결된 소침전.

 

 

 

 

체인당

 

동쪽 건물

 

  

 

 

 

함홍각 

 

교태전 서쪽으로 연결된 소침전.

원길헌과 대칭관계이다.

 

 

 

 

 

 

 

 

 

 

 

 

흠경각, 함원전

 

흠경각과 함원전은 교태전과 경회루 사이에 있다.

흠경각은 세종 20년(1438) 세종대왕이 장영실을 명해 건축한 건물이다.

 물시계, 천문기기, 해시계등 과학기구들을 설치, 보관하던 곳이라 한다. 

함원전은 조선왕가의 불교관련 행사를 하던 곳이라 한다.

 

 

 

 

 

 

 

함원전

 

 

 

 

 

 내순당, 승순당 

 

교태전 남서쪽의 행각이다.

궁녀들의 거처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함원전과 흠경각 사이의 마당.

경회루지붕의 잡상과 멀리 인왕산이 보인다.

   

재성문

교태전 구역에서 경회루로 연결되는 문이다.

 

함원전을 돌아 나가면 교태전 뒤의 소동산인 아미산이 나온다.

 

교태전 후면

 

 

 

 

 

 

 

 

 

 

건순각

 

건순각은 교태전의 부속건물로 후원인 아미산 쪽으로 나 있는 건물로서 왕비의 산실로 쓰였다고 한다.

 

 

 

 

 

 

 

 

 

 

 

아미산 

 

문화제 정보셈터의 자료를 인용한다.

 

아미산은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의 후원이다.

아미산이란 중국의 명산을 상징하는 이름인데, 여기서는 산이 아니라 사방에 장대석으로 단을 쌓아 만든 것이며,

남쪽에는 4단의 화계가 조성되었다.

이 화계의 단에 괴석, 방형석지, 연화형 수조, 해시계대, 돌절구, 화전장식 굴뚝 등이 배치되고,

매화, 모란, 앵두, 반송, 철쭉 등의 화목을 심었으며,

단 위에는 배나무, 뽕나무, 느티나무, 말채나무 등이 원림(苑林)을 이루고 있다.

 

 

 

 

 

 

 

 

 

 

 

 

 

 

 

 

 

 

 

  

 

 

 

 

계속됩니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http://blog.daum.net/oldpavilion

다음 블로그. '옛정자 그늘'

파빌리언.

  (스크랩:O, 개작,변조,상업적이용,출처삭제:X)

출처 : 옛정자 그늘...
글쓴이 : 파빌리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