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書畵

中國(南宋)의儒學者.朱子

선바우1 2018. 2. 2. 21:49


 中國(南宋)의儒學者.朱子


 

 

朱子는 中國南宋의 儒學者(朱喜)의 尊稱이다

南宋때 儒學者 朱子學을 集大成하여 中國思想界의

가장 큰 影響을 미쳤다

朝鮮時代 朱子性理學의 特徵으로는 高麗忠烈王때 안향

(安珦)을通해 처음알려진 朱子性理學은 移民族으로부터

侵略과 民族的 自主性을 確立强調 한것이며 朝鮮王族의

政治理念으로 導入하여 性理學의 民族主義를 朝鮮王朝의

全 近代的 意味의 한 民族의 意識形成 發展的인

民族運動의 등불이

(참조 : 安珦은 충렬왕때 문신임)

 

 

朱 子 十 悔(주 자 십 회)

 

 

1) 不 孝 父 母 死 後 悔

 2) 不 親 家 族 疎 後 悔

3) 安 不 思 難 敗 後 悔

4) 少 不 勤 學 老 後 悔

5) 富 不 儉 用 貧 後 悔

6) 春 不 耕 種 秋 後 悔

7) 不 治 垣 墻 盜 後 悔

8) 色 不 謹 愼 病 後 悔

9) 醉 中 忘 言 醒 後 悔

10) 不 接 賓 客 去 後 悔

 

 朝鮮通信使는 朝鮮의 文化를 日本에 傳播하는 役活을 했다

中國의 朱子學과 朝鮮의性理學을 獨自的으로 發展시키기

위해 1748年 朝鮮통신사가 도쿄의 日本橋를 지나

宿所로 가는 模襲이다(아래)

      


 

 

孔子曰 사람을보는 아홉가지 智慧

그러므로 군자 사람을 쓸 때에

 

 


1. 먼 곳에 심부름을 시켜 그 충성을 보고,

2. 가까이 두고 써서 그 공경을 보며,


   3. 번거로운 일을 시켜 그 재능을 보고,
  

4. 뜻밖의 질문을 던져 그 지혜를 보며,

5. 급한 약속을 하여 그 신용을 보고,

6. 재물을 맡겨 그 어짐을 보며,

7. 위급한 일을 알리어 그 절개를 보고,

8. 술에 취하게 하여 그 절도를 보며,
     

9. 남녀를 섞여 있게 하여 그 이성에 대한

자세를 보는 것이니
이 아홉가지 결과를 종합해서 놓고 보면

사람을 알아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림- 石榴의 孤獨 >

 
 


'漢詩·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선시대 최고의 그림  (0) 2018.02.02
廬山煙雨(여산의 안개비)  (0) 2018.02.02
次黃山韻(차황산운)   (0) 2018.02.01
挽歌詩   (0) 2018.02.01
선비와 鶴  (0) 2018.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