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艶詩 (소염시)
깊고 깊은 규방에서 애만 태우는 여인의 마음
一段風光畵不成
일단풍광화불성
洞房深處說愁情
통방심처설수정
頻呼小玉元無事
빈호소옥원무사
只要檀郞認得聲
지요단랑인득성
고운 맵시 그리려도 그리지 못하리니
깊은 규방 앉아서 애 타는 심정
자꾸 소옥을 부르나, 일 있음이 아니라
오직 님께 제 소리를 알리려는 짓
이 시는 그 유명한 당(唐)나라 현종(玄宗)의 애첩 양귀비(楊貴妃)와 안록산(安祿山)의
관계를 이야기하고 있다고 한다. 당나라 현종(玄宗)의 총애를 받았던 미인 양귀비(楊貴妃)가
정인(情人)인 안록산(安祿山)을 그리워하는 모습을 담은 시에 소염시(小艶詩)라는 것이
있다고 한다.
소염(小艶)이란 처음 피려 할 때의 산뜻하고 아름다운 꽃송이를 뜻하는데, 양귀비를
일컬어서 하는 말이라고 한다. 양귀비는 안록산과 눈이 맞아 남몰래 자주 밀회를 하였다.
밀회를 할 때는 언제나 안록산을 부르는 신호로 자신의 몸종인 소옥(小玉)의 이름을
불렀다고한다. 그러면 안록산은 그 소리를 듣고 비밀통로의 문이 열려 있음을 알고 몰래
들어와서 만나곤 하였다.
이 시는 원오극근(圓悟克勤) 선사가 스승인 오조법연(五祖 法演) 선사에게 이 시를 듣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전해진. 이후 선가(禪家)에서 격외언어(格外言語)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선의(禪意)로써 해석하면 “아름다운 그 맵시, 그림으로 그리려 해도 그리지 못하리니 깊고
깊은 규방에서 애만 태운다.”는 말은 선자(禪者)의 선경(禪境)을 의미한다. 그 도리를 그림
으로도 그릴 수 없다. 것이라 한다.
오조법연(五祖 法演)은 다음의 소염시(小艶詩)를 들어 설법했다고 전한다.
頻呼小玉元無事 只要檀郞認得聲
빈호소옥원무사 지요단랑인득성
소옥(小玉)아 소옥(小玉)아 하고 자주 소옥(小玉)이를 부르지만 소옥(小玉)에게
무슨 일이 있어 그런 건 아니로세다만 남몰래 정든님 찾는 소리였을 뿐이 었다고...
'漢詩·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행원 韓國畵 作品 (0) | 2018.07.31 |
---|---|
부석사 (0) | 2018.07.27 |
采蓮曲(채연곡) (0) | 2018.07.22 |
大倉(대창) / 정몽주(鄭夢周) (0) | 2018.07.16 |
諸葛亮 誡子書 (0) | 2018.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