眞佛庵(진불암) / 虛應堂 普雨(허응당 보우)
庵在雲重處(암재운중처)
겹겹 쌓인 구름 속에 암자 있는데
從來不設扉(종래불설비)
본래부터 사립문은 달지 않았네.
臺杉含晩翠(대삼함만취)
축대 위 삼나무 늦 푸르름 머금고
庭菊帶斜暉(정국대사휘)
뜨락의 국화송이 저녁노을 띠었네.
木落經霜菓(목락경상과)
서리 맞은 나무 열매 떨어지는데
僧縫過夏衣(승봉과하의)
스님은 여름 지낸 옷을 꿰매네.
高閑吾本意(고한오본의)
고상하고 한가로움 나의 본 뜻 이기에
吟賞自忘歸(음상자망귀)
돌아 갈 길 잊은 채 입 다물고 완상하네.
吟(음) = 입을 다물다. = 噤(금)과 통자(通字.
庵 = 암자암. 扉 = 싸립문짝비. 杉 = 삼나무삼. 暉 = 빛휘. 菓 = 과실과.)
縫 = 꾀맬봉. 吟賞(음상) = 입 다물고 감상하다.
'漢詩·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題江石(제강석) 洪裕孫 (0) | 2018.09.10 |
---|---|
金剛山(금강산) 宋時烈 (0) | 2018.09.10 |
석당 이유신(石塘 李維新) (0) | 2018.08.29 |
내게 왜 산에 사느냐고 묻는다면 / 이태백 (0) | 2018.08.29 |
雪軒鄭相宅靑山白雲圖 (0) | 2018.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