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걸작' 90년만에 빛.. 진품 공인되면 수백 억 가치
금동 관음 입상 90여년 만에 일본서 소재 확인
소장자 "한국 귀환 바란다... 환수 나서야"
옷주름 음영·굴곡진 몸매 완벽 세공, "백제 7세기 가장 아름다운 보살상"
'국보 293호'와 함께 1907년 부여서 출토, 1920년대 일본인 매입, 반출 뒤 '베일'
소장자 고심 끝 공개.. 환수 절호의 기회, 특별 예산 편성 등 범정부 계획 세워야
가장 아름다운 ‘백제의 미소’를 찾았다. 한국 미술사 최고의 걸작으로 꼽혔으나
1907년 충남 부여에서 출토된 뒤 일본에 반출돼 90여 년간 공개되지 않았던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의 소재가 최근 일본에서 확인됐다.
문화유산 회복 재단(이사장 이상근)은 이 관음상을 소장해온 일본의 한 기업인이
지난해 12월 도쿄를 방문한 한국 미술사 학회의 최응천(동국대), 정은우(동아대)
교수에게 불상을 공개했으며 두 교수는 이 관음상이 진품임을 공식 확인
했다고 3일 <한겨레신문>에 밝혔다.
7세기 전반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이 불상은 높이 28cm로, 머리에 보관을
쓰고 왼손에 보병을 든 관음보살이 당당하게 서있는 자태를 형상화하고 있다.
인자한 미소를 띤 표정, 어깨·허리 등을 살짝 비튼 자세, 천의를 두르고 구슬장식
(영락)을 걸친 모습 등이 완벽한 조화와 미감을 보여준다. 학계에서는
국보 78호·83호 반가사유상, 국보 287호 백제 금동 대향로와 맞먹는
명품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 농부가 발견한 이 불상은 1922년 일본인 이치다 지로에게 팔려 해방 직후
그가 일본에 갖고 간 것으로 전해진다. 재단 쪽은 “70년대 이치다한테서 불상을
사들인 현 소장자를 3년 전 찾아내 협의한 끝에 지난 연말 동의를 얻어 공개
하게 됐다.”며 “소장자는 불상이 귀환했으면 좋겠다는 뜻도 내비쳤다.”고 전했다.
불교 미술사가인 김리나 홍익대 명예 교수는 “반드시 돌아와야 할 한국 미술의
대표작이다. 정부와 학계가 환수를 위해 모든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국내 학계가 일본에서 소재를 확인한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의 전신상.
보관을 쓰고 자비롭고 인자한 표정을 지은 머리 부분과 천의를 두르고 영락 등의
장식을 걸친 상하반신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한국 불교미술의 최고 걸작이다.
문화유산 회복 재단 제공
“잊을 수 없는, 가장 아름답고 평화로운 미소였어요. 우리나라에서 장인이 만들
수 있는 가장 빼어난 얼굴과 몸매가 아닐까요. 지금도 눈앞에 자태가 어른거립니다.”
지난해 말 일본 도쿄에서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을 실견한 정은우 동아대
고고미술 사학과 교수는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불상을 실측 조사한 최응천 동국대
미술 사학과 교수도 “백제 조각 최전성기의 부드럽고 날렵한 조형 감각이 여실히
드러난 명작”이라며 미술사 연구에 새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했다.
■ 최고의 완성도와 조형미
정은우 교수는 불상을 실견한 뒤 쓴 의견서에서 “백제 7세기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보살상”이라고 단언했다. 이른바 ‘백제의 미소’가 가장 잘
표현된 작품이라는 말이다. 보관 사이로 삐져나온 머리카락은 위로
틀어 올렸고, 부드럽게 늘어진 천의, 다리에 힘을 빼고 목과 허리 등을
살짝 뒤튼 삼곡 자세가 돋보이며, 미소를 머금은 자비로운 얼굴
표정과 우아함은 비교할 대상이 없을 정도로 아름다움의 정수를 보여
준다는게 그의 분석이다.
학계에선 오랫동안 이 관음상의 소재를 찾는 데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 불상은 1907년 충남 부여 규암리 들판에서 한 농부가 발견한 두 점의
금동 관음보살 입상들 가운데 하나다. 모두 일본 헌병대에 압수됐다가
경매를 통해 일본인 수집가들 손으로 넘어갔다.
이 중 하나는 해방 뒤 압수 절차를 거쳐 국보 제293호로 지정됐고,
세간에 ‘미스 백제’란 별명으로 불리며 현재 국립 부여박물관이 소장,
전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확인된 또 다른 불상은 1922년 일본인
의사 이치다 지로가 사들여 소장하다 해방 뒤 일본으로 가져갔다는
얘기만 전해져왔다. 1930년대 이후로는 전시 등에 나오지 않아
흑백 사진 몇 장으로만 알려져 있었다.
'불상·불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龍仁 文殊山 法輪寺 大雄殿 柱聯 (0) | 2018.12.31 |
---|---|
영월 흥녕선원지서 금동 반가 사유상 출토 (0) | 2018.12.03 |
鷄龍山 東鶴寺 吉祥庵 大雄殿 柱聯 (0) | 2018.11.20 |
大韓佛敎總本山 曹溪寺 梵鐘樓 柱聯 (0) | 2018.11.15 |
大韓佛敎總本山 曹溪寺 一柱門 柱聯 (0) | 2018.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