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987

7부대중(七部大衆)이란?

석가의 가르침을 따르는 일곱 부류의 사람들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 사미, 사미니, 식차마나)을 통틀어 이르는 말. 출가한 남녀 수행승인 비구, 비구니와 재가(在家)의 남녀 신도인 우바새(優婆塞: 거사), 우바이(優婆夷: 보살)를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며, 사부대중(四部大衆)이라고도 한다. 불교 교단인 승가(僧伽)를 이루는 기본 집단이다. 승가에서는 석가의 가르침을 따르는 신자들을 7부대중(七部大衆)으로 나누기도 한다. 사부대중에 성인이 안 된 남자 출가승인 사미(沙彌)와 여자 출가승 사미니(沙彌尼), 비구니의 구족계를 받기 직전의 여자 출가승 식차마나(式叉摩那)를 더한 개념으로, 첫 사미는 석가의 아들 라훌라였다. 비구는 ‘걸식하는 자’라는 뜻으로, 불교 초기에는 모든 종교의 탁발하는 수행자를 비구..

불자상식 2022.03.06

불교의" 卍 "의 의미

불교의" 卍 "의 의미 ‘태양과 만물의 순환’을 의미 ‘윤회와 무상’ 불교사상 함축 나치가 좌?을 사용한 결과는 “卍”, 이것은 일종의 이미지이기도 하고 글자이기도 합니다. 인도에서 이것은 스와스티카(Swastika)라는 이름의 상징으로 봅니다. 중국에서는 이것을 한자로 편입시켜 ‘만(卍)’이라는 글자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스와스티카는 사실 불교 고유의 표시가 아니고 고대 인도를 비롯하여 페르시아, 그리스 등 여러 국가의 장식미술에서 흔히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인도의 힌두교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표시이기도 합니다. 힌두교에서는 그들의 신중의 하나인 ‘비슈누’의 가슴에 난 털의 모양이 이와 같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부처님의 가슴에도 이와 같은 모양의 털이 나있었다고도 전해집니다. 그래서 이 모양은..

불자상식 2022.03.06

연대별로 보는 부처님의 발자취

연대별로 보는 부처님의 발자취 부처님은 기원전 565년 중인도 카필라성 슛도다나왕의 아들로 태어남. 559년 (7세) --당시 학당에서 비사바 밀다라 선생으로부터 배움. 특히 8세때부터 4년간은 '제왕의 학'이라 해서 왕으로서 알아두어야 할 여러가지 법을 찬제제바선생으로부터 배웠다. (수학기간 12년) 554(12세) __ 농경제에 나아가 생태계의 참혹한 약육강식의 실상을 관찰함. 농민들의 심한 노동과 자연과의 모진 싸움을 실감. 고통스런 민중의 현실에 대한 최초의 인식. 547(19세) __야소다라와 결혼. 546(20세) __사문유관으로 출가의 결심. 537(29세) __기존의 가치와 기득권을 버리고 출가를 단행. 531(35세) __6년 고행 끝에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 530(36세) 바라나시 ..

불자상식 2022.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