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국보 역사유적 (2) 북한 국보 역사유적 (2) ♬ 아리랑 경음악 - (1) 북한국보 68호 해주 부용당 부용당은 1500년 해주성의 누각으로 세웠다. 임진왜란 때 조선 인조가 태어난 곳으로, 6.25전쟁 때 파괴되어 터만 남아 있었으나 2003년에 복원되었다. ‘부용당’은 조선에 하나밖에 없는 수중루정으로. ‘해주팔경.. 문화유산답사 2018.11.22
수성못과 미즈사키 린따로묘 수성못의 역사와 린따로 수성못은 1924년 일제가 대구시민들에게 수리조합비를 거둘 목적으로 만든 못으로 알려져 있으나 조선조부터 있어왔던 것임을 세종조 '경상도지리지'와 예종조 '경상도숙찬지리지'의 기록으로 알 수 있다. 수성못에 대한 최초의 문서인 '경상도지리지'에 의하면 .. 문화유산답사 2018.11.08
長城筆巖書院 長城筆巖書院 필암서원(사적지 제242호)은 1590년 하서 김인후(1510-1560)의 후학과 호남 유림들이 중심이 되어 장성읍 기산리에 사우(祀宇)를 창건하여 위퍠를 모시게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어 1624년 복원하였으며, 1662년(헌종3) 지방 유림들의 청액소에 의해 筆巖이라고 賜額되었.. 문화유산답사 2018.11.07
노변동 사직단(社稷壇) 의미 국토의 주인인 사(社)와 오곡의 우두머리인 직(稷)의 두 신위에 제사를 드리는 곳 역사 사직단이 설치된 것은 삼국시대부터 인 것으로 전해지며 노변동 사직단은 신라 성덕왕 4년(783)에 설치되어 고구려 고국양왕, 고려 성종, 조선 태조가 제사를 봉양하였다 문화유산답사 2018.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