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書畵

小艶詩 (소염시) - 깊고 깊은 규방에서 애만 태우는 여인의 마음

선바우1 2019. 11. 28. 11:39

 

 

 

 

小艶詩 (소염시)

- 깊고 깊은 규방에서 애만 태우는 여인의 마음

 

 

一段風光畵不成

일단풍광화불성

 

洞房深處說愁情

통방심처설수정

 

頻呼小玉元無事

빈호소옥원무사

 

只要檀郞認得聲

지요단랑인득성

 

고운 맵시 그리려도 그리지 못하리니

깊은 규방 앉아서 애 타는 심정

자꾸 소옥을 부르나, 일 있음이 아니라

오직 님께 제 소리를 알리려는 짓

 

 

이 시는 그 유명한 당(唐)나라 현종(玄宗)의 애첩 양귀비(楊貴妃)와

안록산(安祿山)의 관계를 이야기하고 있다고 한다.

당나라 현종(玄宗)의 총애를 받았던 미인 양귀비(楊貴妃)가 정인(情人)인

안록산(安祿山)을 그리워하는 모습을 담은 시에 소염시(小艶詩)라는 것이 있다고 한다.

소염(小艶)이란 처음 피려 할 때의 산뜻하고 아름다운 꽃송이를 뜻하는데,

양귀비를 일컬어서 하는 말이라고 한다.

양귀비는 안록산과 눈이 맞아 남몰래 자주 밀회를 하였다.

밀회를 할 때는 언제나 안록산을 부르는 신호로 자신의 몸종인 소옥(小玉)의

이름을 불렀다고한다. 그러면 안록산은 그 소리를 듣고 비밀통로의 문이 열려 있음을

알고 몰래 들어와서 만나곤 하였다.

이 시는 원오극근(圓悟克勤) 선사가 스승인 오조법연(五祖 法演) 선사에게 이 시를

듣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전해진. 이후 선가(禪家)에서 격외언어(格外言語)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선의(禪意)로써 해석하면 “아름다운 그 맵시, 그림으로 그리려 해도

그리지 못하리니 깊고 깊은 규방에서 애만 태운다.”는 말은 선자(禪者)의 선경(禪境)

을 의미한다. 그 도리를 그림으로도 그릴 수 없다. 것이라 한다.

 

오조법연(五祖 法演)은 다음의 소염시(小艶詩)를 들어 설법했다고 전한다.

 

頻呼小玉元無事 只要檀郞認得聲

빈호소옥원무사 지요단랑인득성

 

소옥(小玉)아 소옥(小玉)아 하고 자주 소옥(小玉)이를 부르지만소옥(小玉)에게 

무슨 일이 있어 그런 건 아니로세다만 남몰래 정든님 찾는 소리였을 뿐이 었다고...

 

'漢詩·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왕들의 친필   (0) 2019.12.13
김부식과 정지상의 전설  (0) 2019.12.04
내 마음속의 정원   (0) 2019.11.21
安平大君의 夢遊桃源圖(몽유도원도)  (0) 2019.11.19
우안 최영식 화백의 新 곡운구곡도   (0) 201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