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불화 수월관음도 고려불화 수월관음도 ▲수월관음도(고려14세기 "1062.2 x 54.8cm" 아모레퍼시픽미술관) 고려불화가 우리 앞에 다시 나타난 것은 불과 40여 년밖에 안 된다. 1967년 일본의 구마가이 노부오는<조선불화징>이라는 논문을 통해 막연히 송나라 불화라고 알고 있는 70여 점의 불화들이 사실은 고.. 불상·불화 2018.03.20
희귀본 조선불화 100년만에 고국 품으로 희귀본 조선불화 100년만에 고국 품으로 가로 세로 3m 넘는 대형불화 1730년 제작됐을 것으로 추정 전문가들 “보기 드문 수작” 평가 국외소재문화재단 환수 주도 유물 활용 및 기증 대상 검토 ▲ 미국 허미티지박물관이 기증한 석가삼존도.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일제강점기 해외로 .. 불상·불화 2018.03.20
석굴암 백년의 빛 석굴암 백년의 빛 아래는 [석굴암 백년의 빛]이란 제목으로 올라온 글입니다. 일제와 광복후의 석굴암 보수와 관련된 사진자료들이 올라와 있어 퍼왔습니다. http://cafe.daum.net/amitaba/8chX/155 1909년 4월말에 석굴암을 찾은 조선총감부의 부통감 소네 아라스케가 석굴암에서 찍은 사진. 돌과 기.. 불상·불화 2018.03.16
단청의 종류 단청의 종류 1. 가칠단청 무늬없이 단색으로 칠한 단청을 말하며, 주로 수직부재인 기둥이나 동자주 등은 붉은색으로 칠하고 나머지 창방이나 보, 써까래, 문짝등은 옥색인 뇌록을 칠합니다. 단청중에서 가장 간단한 것으로 종묘등에서볼수 있으며, 가칠단청은 화려한 의장성 보다는 목.. 불상·불화 2018.03.16
불교문화미술 조각 불교문화미술 조각 미륵이라는 말은 범어로 마이트레야(Maitreya)로서 자씨(慈氏)보살이라고 불립니다. 미륵은 성이고 이름은 아지타(Ajita)이며 무승(無勝) 또는 막승(莫勝)이라고 합니다. 석가모니부처님의 뒤를 이어 오실 부처님으로 현재에는 도솔천 내원궁에 천인들을 교화하고 계시다.. 불상·불화 2018.03.16
보살도 보살도 문수보살 대승의 보살가운데 한사람 이보살은 석가가 죽은후 인도에 태어나 반야의 도리를 선양하였다고 하며 항상 반야지헤의 권화처럼 표현되어왔다 반야경을 결집편찬한 보살로도 알려져있다 때에따라서는 경전을 손에 쥔 모습으로 묘사되는 일이 많았다 이보살은 석가모니.. 불상·불화 2018.03.12
강릉송라사석조약사여래좌상 강릉송라사석조약사여래좌상 강릉송라사석조약사여래좌상 송라사 석조 약사여래좌상은 1936년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의 방현사(方縣寺) 터에서 출토되었다고 한다. 몸체에 비해 하체가 커서 안정감이 있으나, 목이 짧아 움츠린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두상은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과 .. 불상·불화 2018.03.12
桐華寺入口磨崖佛坐像 桐華寺入口磨崖佛坐像 (보물 제243호)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동화사桐華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높이 1.06m). 동화사 입구 오른쪽의 암벽을 다듬어서 조각한 불상이다. 지상에서 높이 위치한 이 불상은 구름을 타고 하늘에서 내려오는 듯한 개성있는 모습이다. 광배와 대좌를 모.. 불상·불화 2018.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