順天 松廣寺 木彫三尊佛龕 順天 松廣寺 木彫三尊佛龕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국보 제42호) 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에 있는 불감. 높이 13.9㎝. 지눌의 원불로 중국 당나라에서 가져온 것으로 불감의 조각 수법이 원형 조각에 가까울 만큼 고부조이며 세부 묘사가 정확하고 정교하다. 본존불 불상을 모.. 불상·불화 2018.04.05
慶州 栢栗寺 金銅藥師如來立像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慶州 栢栗寺 金銅藥師如來立像)은 경상북도 경주시 북쪽 소금강산의 백률사에 있던 것을 1930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진열하고 있다. 불국사의 금동아미타불좌상·금동비로자나불좌상과 함께 우수한 주조기술을 보여주는 통일신라시대의 3대 금동불.. 불상·불화 2018.04.05
불국사 극락전불상(국보) 佛國寺金銅毘盧舍那佛坐像(국보 제26호)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금동불상으로 대좌(臺座)나 광배(光背)는 없어지고 불신(佛身)만 남아 있다.머리는 큰 편이며 높은 육계(肉髻)나 나발(螺髮)의 머리카락은 기교 있게 만들었다. 얼굴은 길면서 근육이 부풀어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 불상·불화 2018.04.05
石寺塑造如來坐像 浮石寺塑造如來坐像 (국보 제45호) 국보 제45호 부석사소조여래좌상(浮石寺塑造如來坐像) 부석사 무량수전에 모시고 있는 소조불상으로 높이 2.78m이다. 소조불상이란 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진흙을 붙여가면서 만드는 것인데, 이 불상은 우리나라 소조불상 가운데 가장 크고 오래된 작품.. 불상·불화 2018.04.03
숭림사 보광전 목조석가여래좌상 숭림사 보광전 목조석가여래좌상 ( 유형문화재 제188호) (전북 익산시 웅포면) 숭림사 보광전에는 목조석가여래상을 봉안하였는데, 복장기문에 의하면 조선 광해군 5년(1613년)에 조성되었다고 기록 되어 있으며, 목조불상으로 크게 조성한 조선 후기의 대표작 불상이다. 부처님은 결과부.. 불상·불화 2018.04.02
佛像 國寶 佛像 國寶 國寶 28호 栢栗寺金銅藥師如來立像 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보관 이 상은 원래 경주의 북산인 소금강산(小金剛山)에 있는 백률사(栢栗寺)에 안치되었던 것으로, 1930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전시하고 있다. 높이 177cm. 등신대(等身大)의 중후한 인상을 풍겨주.. 불상·불화 2018.04.02
佛國寺 金銅阿彌陀如來 坐像 佛國寺 金銅阿彌陀如來 坐像 (국보제27호)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 불국사 국사 극락전(極樂殿)에 주존불(主尊佛)로 봉안되어 있는 불상이다 높이 166㎝로 이 상(像)은 전체적으로 장중한 모습이며 신체나 옷주름도 비교적 사실적(寫實的)으로 표현하였다. 불상은 조성연대가 국보 제26호와 .. 불상·불화 2018.04.02
瑞山磨崖三尊佛像 瑞山磨崖三尊佛像(國寶84호)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제작시기는 6세기말이나 7세기초로 보인다. 특히 이곳은 백제시대 중국교통로의 중심지인 태안반도에서 부여로 가는 길목에 해당하므로 이 마애불은 당시의 활발했던 중국과의 문화교류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게 하는 걸작의 불.. 불상·불화 2018.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