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業)이란 무엇입니까? 업(業)이란 무엇입니까? 업이란 행위, 의지에 의한 심신의 활동 즉 짓는다는 뜻이 있습니다. 우리들은 대개 몸과 말과 뜻의 세 가지로 활동을 합니다. 뜻으로 생각하고 몸으로 활 동하거나 말로 표현합니다. 대개는 뜻이 먼저 있고 그에 따른 말이나 행동이 있게 마 련입니다. 그러므로 이 .. 불자상식 2018.07.07
열반(涅槃)이란? 열반(涅槃)이란? 열반(涅槃)이란 원래 적멸(寂滅) 또는 멸도(滅度)의 뜻인데 결박에서 벗어난 해탈의 뜻이 있습니다. 원적(圓寂)이라고도 합니다. 이 말은 불이 다 타 꺼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범부의 치성하게 타오르는 번뇌의 불길을 다 태워 없애서 청정한 깨달음의 지혜를 완 성한 경계.. 불자상식 2018.07.06
범종을 33번치는 이유 범종(梵鐘) 우리나라 절에서 조석예불 때 사용하는 사물 중 대표적인 법구이다. 의식이나 행사 때 또는 대중을 모이게 하거나 때를 알리기 위해서 치는 것이다. "범" 이란 우주만물이며 진리란 뜻으로 바로 그런 소리를 내는 것이 범종이다. 따라서 범종의 신앙적 의미는 모든 중생이 종소.. 불자상식 2018.07.06
108번뇌와 108배 108번뇌와 108배 불교의 절하는 숫자에 대한 근거는 뚜렷하다. 3배를 드리는 것은 삼보(三寶)에 귀의하여 탐심, 진심, 치심의 삼독심(三毒心)을 끊고 삼학(三學, 戒, 定, 慧)을 닦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것이고.. 53배는 참회 53불(佛)에 대한 경배 1천배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겁(賢劫)의 .. 불자상식 2018.07.04
참 불자 참 불자 참 불자는 참 불교를 낳고, 참 불교는 옳바른 믿음과 이해와 실천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즉 옳바른 스승을 만나 참다운 가르침을 자주 듣고 보아 깊이 사유하면서 이해 하고 한 가지씩이라도 실천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옳바른 신행생활이 비롯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려.. 불자상식 2018.07.04
가야산 해인사 팔만대장경 가야산 해인사 팔만대장경 1. 팔만대장경이라고 하는 이유 팔만사천 번뇌를 없앤다는 뜻에서 만들었기에 팔만대장경이라고도 부른다. 2. 대장경의 뜻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록으로 남기고 있는 불교 경전의 총서다. 한자로 옮기면 삼장(三藏)이 된다. ‘3개의 바구니’라는 뜻이다. 부처의.. 불자상식 2018.07.04
12연기(緣起)란 무엇인가? 12연기(緣起)란 무엇인가? 1) 연기법(緣起法) 세존께서 6년의 고행 끝에 깨달으신 내용이 바로 연기법(緣起法)입니다. 현상은 무상(無常)하여 언제나 생멸변화(生滅變化)하지만 그것은 일정한 궤도(軌度) 안에서 일정한 움직임을 하고 있습니다. 그 움직임의 법칙을 연기법이라 합니다. 연.. 불자상식 2018.07.04
四弘誓願 四弘誓願 (사홍서원) 대승불교의 근본이 되는 원이며, 모든 보살(菩薩)이 다 함께 일으키는 원이라고 하여 총원(總願)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불교의식 및 법회의 시작에 삼귀의(三歸依:불·법·승 삼보에 돌아가 의지함.)를 하고 마지막으로 사홍서원을 외워 끝을 맺게 된.. 불자상식 2018.07.04
불교의 3보(寶) 불교의 3보(寶) 불교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세 가지 보배, 3보는 불보(佛寶), 법보(法寶), 승보(僧寶)입니다. 이 세 가지를 보배로 꼽는 이유는, 부처님과 그 가르침 과 수행자들이 모두 거룩하고 변치 않는 대위덕(大威德)을 지녀서, 마치 보배와 같이 고귀하기 때문입니다. 불보에는 우리 .. 불자상식 2018.07.04
三十二相八十種好 三十二相八十種好 삼십이상 팔십종호(三十二相八十種好)는 부처가 인간과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부처의 형상에 대한 후세의 설명으로 ‘깨달은 자(Buddha)’가 지니는 인간과 다른 32가지의 모습, 80가지의 특징을 말한다. 인간은 갖출 수 없는 부처의 존엄.. 불자상식 2018.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