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만대장경에 대하여 가야산 해인사 팔만대장경 1. 팔만대장경이라고 하는 이유 팔만사천 번뇌를 없앤다는 뜻에서 만들었기에 팔만대장경이라고도 부른다. 2. 대장경의 뜻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록으로 남기고 있는 불교 경전의 총서다. 한자로 옮기면 삼장(三藏)이 된다. ‘3개의 바구니’라는 뜻이다. 부처의.. 불자상식 2018.08.19
[스크랩] 에세이 금강경 23.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관념을 떠난 선행) 復次須菩堤, 是法平等 無有高下 是名 阿多羅三必三菩堤.以無我 부차수보리, 시법평등 무유고하 시명 아뇩다라 삼먁삼보리.이무아 無人無衆生 無壽者 修一切善法 卽得阿多羅三必三菩堤. 須菩堤, 무인무중생 무수자 수일체선법 즉득아뇩다.. 불자상식 2018.08.07
사천왕(四天王) 경주 불국사의 사천왕 사천왕(四天王) 우리 나라의 사찰에서는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의 천왕문(天王門)에 사천왕상을 봉안하고 있다. 보통 이 천왕상들은 불거져 나온 부릅뜬 눈, 잔뜩 치켜올린 검은 눈썹, 크게 벌어진 빨간 입 등 두려움을 주는 얼굴에 손에는 큼직한 칼 등을 들고, 발로.. 불자상식 2018.07.17
[스크랩] 三災 경에서는 풍재.화재.수재를 삼재라과 말합니다. 풍재는 바람으로 인해 일어나는 재앙.화재는 불로 인해 일어나는 재앙 수재는 물로 인해 일어나는 재앙를 말합니다. 아함경에 이 세 가지를 삼재라고 해서 조금 언급되어 있습니다. 경전에 나오는 삼재는 법말세가 되어 생기는 일체 재앙.. 불자상식 2018.07.12
오체투지(五體投地)와 절하는 공덕 오체투지(五體投地)와 절하는 공덕 절하는 법 - 오체투지(五體投地)에 대하여 우리가 보통 사찰의 법당이나 부처님의 사리가 모셔진 탑 등에서 절을 할 때는 오체투지(五體投地)를 하게 됩니다. 오체라 함은 몸의 다섯 부분으로서 양 팔꿈치, 양 무릎 이마를 말하고, 오체투지(五體投地)란.. 불자상식 2018.07.12
불교사이트 일체중생이 복될 지이다♣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 자성중생서원도(自性衆生誓願度) 자성번뇌서원단(自性煩惱誓願斷) 자성법문서원학(自性法門誓願學) 자성불도서원성(自性.. 불자상식 2018.07.12
업(業)이란? 업(業)이란? 업이란 행위, 의지에 의한 심신의 활동 즉 짓는다는 뜻이 있습니다. 우리들은 대개 몸과 말과 뜻의 세 가지로 활동을 합니다. 뜻으로 생각하고 몸으로 활 동하거나 말로 표현합니다. 대개는 뜻이 먼저 있고 그에 따른 말이나 행동이 있게 마련입니다. 그러므로 이 세가지 업을 .. 불자상식 2018.07.10
탁발(托鉢) 탁발(托鉢) 출가 수행자의 생활수단은 그 방법에 엄중한 규율이 정해져 있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12가지 두타행(頭陀行)인데 번뇌의 티끌을 제거하고 의,식,주,를 간편히 하여 수행 정진하게 하는 열 두 가지의 행법이다. 이 12가지 두타행 중에 상행걸식(常行乞食)과 차제걸식 (次第.. 불자상식 2018.07.10
전각및 본존불에 따른 좌우협시 후불탱 분류표 전각및 본존불에 따른 좌우협시 후불탱 분류표 전 각 명 별 칭 본 존 좌 우 협 시 후 불 탱 화 대 웅 전 대웅보전 석가모니불 문수보살,보현보살 아미타불,약사여래불 제화갈라보살,미륵보살 가섭존자,아난존자 영상회상도 삼여래탱화 대적광전 비로전 대광명전 비로자나불 노사나불,석.. 불자상식 2018.07.07
寂滅寶宮이란? 寂滅寶宮이란? 적멸보궁이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법당을 말한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셨으므로 불단은 있지만 불상이나 후불탱화를 모시지 않은 것이 특징이고 다만 이 법당의 바깥이나 뒤쪽에는 사리탑을 봉안했거나 계단(戒壇)을 설치한 경우가 많다.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 불자상식 2018.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