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자 의미와 유래 "卍"자 의미와 유래 卍’자는 우리나라에서 불교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표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卍’자는 십자가와 마찬가지로 예전부터 세계 각지에서 사용하고 있었다. 그 기원에 대해서도 여러 설이 있다. 인도에서는 비슈누 신의 가슴에 난 털 모양이 ‘卍’자 모양이었다.. 불자상식 2018.01.29
불교 예절과 의례 불교 예절과 의례 불교에는 불교만의 예절과 의례가 있습니다. 처음 불교를 접하는 불자는 불교 예절을 잘 알아야 편한 마음으로 불교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불교 예절의 근본정신은 늘 부처님을 생각하고 가르침을 되 새기며 행하도록 도와주는 데 있습니다. 그러므로 예.. 불자상식 2018.01.29
육도윤회(六道輪廻) 육도윤회(六道輪廻) 중생들은 자신들이 지은 업(業)에 따라 여섯 가지 세계에 태어나고 죽는 것을 계속 반복합니다. 이것을 육도윤회(六道輪廻)라고 합니다. 여섯 가지 세계를 수레바퀴 돌 듯이 계속 돈다는 의미지요. 천상, 인간, 수라, 축생, 아귀, 지옥의 세계를 끊임없이 반복해서 태어.. 불자상식 2018.01.29
예불문(禮佛文) 해설 예불문(禮佛文) 해설 예불은 불법승(佛法僧) 삼보 께 예배하고 자신을 비롯한 일체중생이 함께 성불하고자 원을 세우는 의식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원래 하루 여 섯 번 혹은 네 번이나 두 번씩 올렸지만 요즘은 두 번으 로 굳어지고 있습니다 예불의식도 종래에는 오분향례(五分香禮) 향.. 불자상식 2018.01.29
만남의 인연은 소중하게 만남의 인연은 소중하게 오늘 하루도 마음이 따뜻한 그런 하루로 열어볼까 합니다. 마음의 그림을 맘껏 색칠해보세요 아마 무지개 색으로 흰 도화지에 칠하셨죠 아주 멋있는 그림이 그려지게 될 겁니다. 마음을 비우고 세상을 바라보세요 세상은 넓고 모두가 아름답게 보인답니다. 우리.. 불자상식 2018.01.26
옴마니반메훔의 참 뜻 옴마니반메훔의 참 뜻 '옴마니반메훔(Om mani padme hum)'이라는 진언이 방송매체를 타고나서 세인의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진언(眞言)은 불교에서 깨달음의 심경을 즉시적으로 표현한 말을 가리킨다. 사람은 다른 어떤 방법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을 상징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그것을 .. 불자상식 2018.01.26
나반존자에 대하여 나반존자에 대하여 / 학장스님 운문사 사리암은 나반존자님을 모시는 기도도량입니다. 여러분이 사리암 참배를 하고 내려오셨다하니 오늘 법문은 나반존자님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南無 天台山上 獨修禪定 那畔尊者 나무 천태산상 독수선정 나반존자 南無 三明已證 二利圓成 那畔.. 불자상식 2018.01.26
화두와 참선 극락관경도 화두와 참선 〈화두(話頭)〉 참선할 때에 필요한 것으로 의심된 생각 (이 생각하는 의심이 크면 클수록 깨달음도 크고 의심이 없이는 깨달음에 도달할 수 없는 것이 참선을 통하여 할 수 있는 견성법이다.) ◑화두의 종류 옛 조사로부터 중중(重重)히 베풀어놓은 1700여 가지의 .. 불자상식 2018.01.26
지혜롭게 사는 15가지 생활수행법 지혜롭게 사는 15가지 생활수행법 아주 단순하게 생각해서 누구나 잘 살기 위해 세상을 살아간다. 또 누구나 삶의 목적은 잘 사는데 있다. 그러나 과연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길인가. '이렇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이다'라는 정답이 있고 체크리스트가 있어서 매일같이 잠자리에 들기 .. 불자상식 2018.01.26
사무량심 (四無量心) 사무량심 (四無量心) 육바라밀을 성취한 대승보살이 한없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갖추고 있는 네 가지 마음을 말한다. 끝없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보살도 한량없는 마음을 가져야 하는데 그 마음이 곧 자무량심(慈無量心)·비무량심(悲無量心)· 희무량심(喜無量心)·사무량심(.. 불자상식 2018.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