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십대제자 부처님 십대제자 부처님께 직접 설법을 들은 제자들인 성문을 대표하여 십대제자가 많이 이야기 되고 있지요. 성문(聲聞)이라는 말은 글 그대로 "말씀을 들었다"라는 뜻인데 과연 부처님의 말씀만 들었다고해서 다 성인일까요. 아마도 말의 의미를 알아 들을 수 있는 경지에 이르렀다라.. 불자상식 2018.01.18
화두와 참선 극락관경도 화두와 참선 <화두(話頭)〉 참선할 때에 필요한 것으로 의심된 생각 (이 생각하는 의심이 크면 클수록 깨달음도 크고 의심이 없이는 깨달음에 도달할 수 없는 것이 참선을 통하여 할 수 있는 견성법이다.) ◑화두의 종류 옛 조사로부터 중중(重重)히 베풀어놓은 1700여 가지의.. 불자상식 2018.01.17
불교미술로본 석가모니불 불교미술로본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우리나라 절의 대부분은 주전각으로 대웅전을 모시고 있으면 이 대웅전의 주불이 석가모니불이시다. 우리가 역사상으로 알고있는 부처님이 바로 이 분이시며 석가모니라는 말은 "석가족 출신의 성인"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불(佛)이라는 말은 .. 불자상식 2018.01.17
독성(獨聖)과 나반존자(那畔尊者) 독성(獨聖)과 나반존자(那畔尊者) 독성(獨聖) 스승 없이 스스로 깨침을 열어 성자가 된 자들, 즉 혼자서 십이인연법을 관하여 연기법(緣起法) 과 세상 모든 것의 무상(無常)함을 깨친 무리를 독성(獨聖) 독수성(獨修聖) 독각(獨覺) 연각 (緣覺) 벽지불(壁支佛) 등이라 부른다. 전통적 해석으.. 불자상식 2018.01.17
사무량심 (四無量心) 사무량심 (四無量心) 육바라밀을 성취한 대승보살이 한없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갖추고 있는 네 가지 마음을 말한다. 끝없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보살도 한량없는 마음을 가져야 하는데 그 마음이 곧 자무량심(慈無量心)·비무량심(悲無量心)· 희무량심(喜無量心)·사무량심(.. 불자상식 2018.01.17
삼신(三身)이란 삼신(三身)이란 3신에 관한 설은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 등의 3신설을 말한다. 법신은 청정 법신 비로자나불(毘盧蔗那佛)로 표현하며, 우주 본체의 진여 실상을 인격화한 영원 불멸의 불신(佛身)을 뜻한다. 보신은 원만 보신 노사나불(盧舍那.. 불자상식 2018.01.17
사성제(四聖諸)란 사성제(四聖諸)란 출가 이전의 불타의 관심사는 인간 현실의 고, 즉 생노병사에 대한 해결의 문제였습니다. 따라서 위없는 진리를 깨 달으신 부처님은 그 깨달으신 바 진리 연기(緣起의법)를 이와 같은 명세에 대입 시켜 중생을 위해 쉽게 가르쳐 주셨으니, 이것이 곧 사 성제이고, 도를 .. 불자상식 2018.01.17
알아두어야 할 불자상식 알아두어야 할 불자상식 사찰의 문 1.일주문 * 절 입구에 양쪽 하나씩의 기둥으로 세워진 건물 * 일주문을 경계로 문밖을 속계, 문안을 진계라 부름 2.천왕문 * 부처님의 세계를 지키는 사천왕을 모신 문 : 일명 봉황문 * 동쪽에 지국천왕-비파 가짐 * 서쪽에 광목천왕-여의주,새끼줄 가짐 * .. 불자상식 2018.01.14
우리나라 사찰은 왜 산 속에 많게 되었나요? 우리나라 사찰은 왜 산 속에 많게 되었나요? 불교를 국교로 삼았던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그리고 고려시대에는 평지에도 산지 못지 않게 절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산에 있는 절은 그 규모에 있어서 평지에 있는 절에 미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우리 나라의 큰 사찰은 거의 .. 불자상식 2018.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