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음보살님은 어디 계실까 관세음보살님은 어디 계실까 /진각스님 관세음보살님은 일체 모든 중생이 지극히 나를 부르고 나를 원한다면 언제 어떤 모습으로든 나투신다고 하셨습니다. 기업가가 나를 부르면 기업가의 몸으로 나툴 것이요, 상업가가 나를 원한다면 상업가의 몸으로 나툴 것이요, 농사꾼이 나를 부.. 법문·칼럼 2018.01.23
생명의 참모습/성철스님 생명의 참모습/성철스님 모든 생명을 부처님과 같이 존경합시다. 만법의 참모습은 둥근 햇빛보다 더 밝고 푸른 허공보다 더 깨끗하여 항상 때 묻지 않습니다. 악하다, 천하다, 함은 겉보기 뿐 그 참모습은 거룩한 부처님과 추호도 다름이 없어서 일체가 장엄하며 일체가 숭고합니다. 그러.. 법문·칼럼 2018.01.23
생활수행 이야기 / 법상스님 생활수행 이야기 / 법상스님 삶과 동떨어진 것은 진정 수행이 아닙니다. 나의 삶을 변화시킬 수 없는 것은 수행이 아닙니다. 실천이 없는 수행은 이미 수행일 수 없습니다. 백 번 보고 읽는 것이 한 번 행(行)하는 것만 못한 것입니다. 방하착 우리들은 인연따라 잠시 온 것을 '내 것'이라 .. 법문·칼럼 2018.01.23
마음에 타는 불을 무엇으로 끄려는가 마음에 타는 불을 무엇으로 끄려는가 /청담스님 사람들은 모두 마음속에 불 하나씩을 담고 부글부글 끓이고들 삽니다 저높은자리에 내가 꼭 앉아야 할텐데. 내 금쪽 같은 자식이 일류대학에 철커덕 붙어야 할텐데. 손귀한 가문에 시집을 왔으니 이번에 꼭 아들을 낳아야 할텐데. 돈을 왕.. 법문·칼럼 2018.01.22
난 적도 없고 죽은 적도 없네 난 적도 없고 죽은 적도 없네 끝없이 태어난 생명 태어난 적도 없고 죽은 적도 없네. 드넓은 푸른 바다와 빛나는 별이 가득한 밤하늘 그것은 다 나의 경이로운 참마음이 드러나 표현된 것일 뿐 시간이 존재하기 이전 무시의 그때부터 나는 늘 자유로웠네. 탄생과 죽음은 우리가 통과하는 .. 법문·칼럼 2018.01.22
누가 옳고 누가 그른가 누가 옳고 누가 그른가 누가 옳고 누가 그른가 모두가 꿈속의 일인 것을 저 강을 건너가면 누가 너이고 누가 나인가 누구나 한번은 저 강을 건너야 한다. 나 또한 다를 바 없어 곧 바람 멎고 불 꺼지리라 꿈 속의 한 평생을 탐하고 성내면서 너다 나다 하는구나 - 경허선사 - 경허(1849∼1912) .. 법문·칼럼 2018.01.22
원수 갚는 방법 원수 갚는 방법 /성철스님 '저 원수를 보되 부모와 같이 섬겨라.(觀波怨家 如己父母)' 이것은 원각경 (圓覺經)에 있는 말씀입니다. 중생이 성불 못하고 대도(大道)를 성취 못하는 것은 마음속에 수많은 번뇌, 팔만 사천 가지 번뇌 망상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것이 마음의 눈을 가려서 대.. 법문·칼럼 2018.01.22
자기를 바로 봅시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자기(自己)를 바로 봅시다. 자기는 원래 구원되어 있습니다. 자기가 본래 부처입니다. 자기는 항상 행복과 영광에 넘쳐 있습니다. 극락과 천당은 꿈속의 잠꼬대 입니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자기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영원하고 무한합니다. 설사 허공이 무너지.. 법문·칼럼 2018.01.22
마음의 눈을 뜨자 마음의 눈을 뜨자 /성철스님 마음의 눈을 뜨자 (1) 불교에서 항상 하는 말이 모든 것이 마음이다[一切唯心]라고 합니다. 마음 밖에는 아무 것도 없다[心外無物],동시에 마음이 곧 부처다[卽心是佛] 라고도 합니다. 불교는 그 교리 전체가 팔만대장경에 담겨있는 만큼 불교를 알려면 팔만대.. 법문·칼럼 2018.01.22
원수를 부모처럼 섬기 원수를 부모처럼 섬기라 150찬불송(一百五十護佛頌) 중에서 /「나지르제타」스님 은심과부재 배덕기심원 존관원극경 유여극중은 (恩深過覆載 背德起深怨 尊觀怨極境 猶如極重恩) 베푼 은혜 천지보다 깊어도 그걸 배반하고 갚은 원수 맺는다. 부처님은 그 원수를 가장 큰 은혜로 본다. 쉽.. 법문·칼럼 2018.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