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관음보살입상 (국보 제128호) 금동관음보살입상 (국보 제128호) 백제시대의 보살상. 높이 15.2㎝. 국보 제128호. 호암미술관 소장. 충남 공주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 왼손에는 든 정병으로 보아 관음보살로 추정되며 세장한 몸의 형태, 삼면보관,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된 영락장식 등 충남 부여군에서 발견된 .. 불상·불화 2018.04.23
서울 三陽洞 金銅觀音菩薩立像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서울 三陽洞 金銅觀音菩薩立像) 국보 제127호(국립중앙박물관) 1967년 서울시 도봉구 삼양동에서 발견된 높이 20.7㎝의 보살상으로,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발목 윗부분에 금이 가고 왼쪽 옷자락이 약간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머리에는 .. 불상·불화 2018.04.23
江陵 寒松寺址 石造菩薩坐像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江陵 寒松寺址 石造菩薩坐像) 국보 제124호 (국립춘천박물관) 원래 강원도 강릉시 한송사 절터에 있던 보살상으로 1912년 일본으로 옮겨졌다가, 1965년 조인된 ‘한일협정’에 따라 되돌려 받았다. 잘려진 머리 부분을 붙일 때의 흔적과, 이마 부분의 백호(白毫.. 불상·불화 2018.04.23
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 국보 제119호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와 관련된 글이 새겨져 있는 불상으로, 옛 신라 지역인 경상남도 의령지방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광배(光背) 뒷면에 남아있는 글에 따르면 평양 동사(東寺)의 승려들이 천불(千佛)을 만.. 불상·불화 2018.04.21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국보 제118호 (소재지 : 삼성미술관 리움) 1944년 평양시 평천리에서 공사를 하던 중 출토된 작은 보살상으로 높이 17.5㎝이다. 전면에 녹이 많이 슬었고 오랫동안 흙속에서 침식된 흔적이 뚜렷하며, 불에 탄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삼국.. 불상·불화 2018.04.21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117호)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117호)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의 대적광전에 모셔진 철로 만든 불상으로, 현재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잃고 불신(佛身)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불상의 왼팔 뒷면에 신라 헌안왕 2년(858) 무주장사(지금의 광주와 장흥)의 부관이었던 김수.. 불상·불화 2018.04.21
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국보 제109호) 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국보 제109호) 경상북도 군위군 팔공산 절벽의 자연동굴에 만들어진 통일신라 초기의 석굴사원으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경주 석굴암 석굴(국보 제24호)보다 연대가 앞선다. 이 석굴에는 700년경에 만들어진 삼존석불이 모셔져 있다. 가운데 본존불은 사각형의 .. 불상·불화 2018.04.17
癸酉銘三尊千佛碑像(국보 제108호) 癸酉銘三尊千佛碑像(국보 제108호) 소재지 : 국립공주박물관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서광암(瑞光庵)에서 발견된 작품으로, 비석 모양의 돌에 불상과 글을 새겨 놓은 것이다. 사각형의 돌 전체에 불상을 새겼는데, 앞면의 삼존불(三尊佛)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 불상·불화 2018.04.17
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국보 제106호) 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국보 제106호) 소재지 :국립청주박물관 충청남도 연기군 비암사에서 발견된 이 삼존석상은 4각의 긴 돌 각 면에 불상과 글씨를 조각한 비상(碑像) 형태이다. 정면은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를 새기고, 그 안쪽을 한 단 낮게하여 아미타삼존상을 조각하였다. 커다.. 불상·불화 2018.04.14
金銅辛卯銘三尊佛立像(국보 제85호) 金銅辛卯銘三尊佛立像(국보 제85호) 1930년 황해도 곡산군 화촌면 봉산리에서 출토되어 현재는 리움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 불상으로 높이 15.5㎝이다. 하나의 커다란 광배(光背)에 본존불과 좌우보살상을 조각한 형태의 삼존불(三尊佛)로 현존하는 같은 형식의 불상 중에서 가장 크다. 좌.. 불상·불화 2018.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