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국보 제84호)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국보 제84호)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 불상·불화 2018.04.14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국보 제83호)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국보 제83호)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제78호)과 함께 국내에서는 가장 큰 금동반가사유상으로 높이가 93.5㎝이다. 1920년대에 경주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하나 근거가 없으며, 머리에 3면이 둥근 산 모양의 관(冠)을 쓰고 있어서 ‘삼산 .. 불상·불화 2018.04.13
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국보 제82호) 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국보 제82호)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감산사는 신라 성덕왕 18년(719)에 김지성이 부모의 명복을 빌고, 국왕과 왕족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 후 그는 어머니를 위해 미륵보살을, 아버지를 위해 아미타불을 만들 었다고 한다. 현재는.. 불상·불화 2018.04.13
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국보 제81호) 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국보 제81호) 경상북도 월성군에 있는 감산사는 신라 성덕왕 18년(719)에 김지성이 부모의 명복을 빌고, 국왕과 왕족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한 해에 그는 어머니를 위해 미륵 보살을, 아버지를 위해 아미타불을 만들었다고 한다. 현재.. 불상·불화 2018.04.13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국보 제80호)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국보 제80호) 통일신라. 경북 경주시 낭산의 삼층석탑(국보 제37호)에서 나온 사리함 속에서 금제여래좌상(국보 제79호)과 함께 발견되었다. 높이 14㎝. 국보 제80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연대가 거의 확실한 7세기말 왕실 봉납의 불상이다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 불상·불화 2018.04.10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坐像(국보 제79호)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坐像(국보 제79호) 소재지 : 국립중앙박물관 1942년 착수된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7호) 해체수리 공사시 나온 사리함에서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국보 제80호)과 함께 발견되었다. 사리함에 새겨진 글에 의하면 통일신라 성덕왕 5년(706)에 사리함 속에 순.. 불상·불화 2018.04.10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국보 제78호) 의자 위에 앉아 오른발을 왼쪽다리 위에 올려 놓고, 오른쪽 팔꿈치를 무릎 위에 올린 채 손가락을 뺨에 댄 모습의 보살상으로 높이는 80㎝이다. 1912년에 일본인이 입수하여 조선총독부에 기증했던 것을 1916년 총독부박물관으로 옮겨 놓았고, 현재는 .. 불상·불화 2018.04.07
金銅癸未銘三尊佛立像 金銅癸未銘三尊佛立像(국보 제72호) 커다란 하나의 광배(光背)를 배경으로 중앙에 본존불과 양 옆에 협시보살을 배치하고 있는 삼존불(三尊佛)이다. 삼국시대 불상, 성북구 간송미술관 소재. 불상·불화 2018.04.07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63호)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관우리 도피안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높이 91㎝. 국보 제63호. 조성기가 새겨져 있어 865년 철원군의 신도 조직인 1,500인의 거사들에 의하여서 조성된 대중적인 불상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불상·불화 2018.04.07
浮石寺祖師堂壁畵(국보 제46호) 浮石寺祖師堂壁畵(국보 제46호) 이 벽화는 부석사를 창건하고 우리나라에서 화엄종을 처음 시작한 의상대사를 모시고 있는 부석사조사당(국보 제19호) 안쪽 벽면에 사천왕과 제석천, 범천을 6폭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이다. 지금은 벽화가 있는 벽면 전체를 그대로 떼어 유리상자에 담아 .. 불상·불화 2018.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