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銅菩薩立像 金銅菩薩立像 (국보 제200호) 부산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불상은 정면을 향해 가슴을 펴고 당당하게 서 있는 금동보살상으로,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는 없어졌 지만 비교적 잘 보존된 작품이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육계)이 높이 솟아 있으며, 이마에는 작은 구멍.. 불상·불화 2018.05.01
慶州 斷石山 神仙寺 磨崖佛像群 慶州 斷石山 神仙寺 磨崖佛像群 (국보 제199호)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단석산 중턱에 이르면 거대한 암벽이 ㄷ자 모양으로 높이 솟아 하나의 석실(石室)을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인공적으로 지붕을 덮어서 석굴 법당을 만들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바위면에는 10구의 불상.. 불상·불화 2018.05.01
楊平 新花里 金銅如來立像 楊平 新花里 金銅如來立像 (국보 제186호) 1976년 경기도 양평군 신화리에서 농지를 정리하던 중에 우연히 발견된 높이 30㎝의 불상인데, 이곳에서 기와조각 등 유물이 많이 나온 것으로 보아 예전에는 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은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잃었으나, 보존 상태가 .. 불상·불화 2018.05.01
龜尾 善山邑 金銅菩薩立像 龜尾 善山邑 金銅菩薩立像 (국보 제184호) 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에서 공사를 하던 중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82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3호)과 함께 출토되었다. 이 지역에서 삼국시대의 기와조각과 토기조각들이 많이 출토되어서 원래 절터였던 것으로 추정.. 불상·불화 2018.05.01
龜尾 善山邑 金銅菩薩立像 龜尾 善山邑 金銅菩薩立像 (국보 제183호) 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에서 공사를 하던 중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82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4호)과 함께 출토되었다. 이 지역에서 삼국시대의 기와조각과 토기조각들이 많이 출토되어서 원래 절터였던 것으로 추정.. 불상·불화 2018.04.27
구미선산읍금동보살입상 구미선산읍금동보살입상 (국보 제182호) ] 국보 제184호. 1976년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면 봉한 2동 산에서 사방공사를 하던 중, 다른 금동보살입상 1구(국보 제183호),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82호) 1구와 함께 출토되었다. 속전(俗傳)에 의하면, 70여 년 전 어느 농부가 부근의 ‘대밭골’이라는 .. 불상·불화 2018.04.27
靑磁 堆花點文 羅漢坐像 靑磁 堆花點文 羅漢坐像 (국보 제173호) 1950년대 강화도 국화리에서 발견되었는데, 당시에 여섯조각으로 부서져 있던 것을 복원시켜 놓은 것이다. 바위 모양의 대좌(臺座) 위에 팔짱을 낀 채 작은 책상에 의지하여 오른쪽 무릎을 반쯤 일으켜 세우고 앉아 고개를 약간 숙이고 있다. 눈은 반.. 불상·불화 2018.04.27
靈巖 月出山 磨崖如來坐像 靈巖 月出山 磨崖如來坐像 (국보 제144호) 소재지 : 전남 영암군 영암읍 회문리 산26- 약간 치켜올라간 눈꼬리와 꽉 다문 입 등에서 엄숙한 분위기가 풍긴다. 어깨는 각이 져 당당한 느낌을 주는 반면에 팔은 가늘고 가슴은 빈약하며, 하체로 내려올수록 평면성이 강해져 전체적으로 신체 .. 불상·불화 2018.04.25
금동보살삼존입상 (金銅菩薩三尊立像) 금동보살삼존입상 (金銅菩薩三尊立像) (국보 제134호) 강원도 춘천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이 보살상은 하나의 광배(光背)에 삼존상을 배치한 형식이며, 불신(佛身), 광배, 대좌 (臺座)가 함께 붙어 있는 독특한 작품이다. 본존인 보살은 머리에 관(冠)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둥근 편이.. 불상·불화 2018.04.25
금동보살입상 (국보 제129호) 금동보살입상 (국보 제129호) 경기도 용인시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높이 54.5㎝의 금동보살 입상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하던 보살상의 양식과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현재는 보살이 서 있던 대좌(臺座)와 머리에 쓰고 있던 관(冠)이 없으며, 왼손은 팔뚝에서 떨어져 나간 상태.. 불상·불화 2018.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