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대화상(布袋和尙) 포대화상(布袋和尙) 당나라 명주 봉화현 사람으로 법명은 契此(계차)이다. 뚱뚱한 몸집에 얼굴은 항상 웃으며 배는 풍선 처럼 늘어져 괴상한 모습으로 지팡이 끝에다 커다란 자루를 걸러메고 다니는데, 그 자루속에는 별별 것이 다 들어있어서 무엇이든 중생이 원하는대로 다 내어주어서.. 불자상식 2018.01.22
염불하는 10가지 참마음 염불하는 10가지 참마음 첫 째, 무손해심(無損害心) 염불할 때 염불하는 사람은 모든 사람에게 대자(大慈)한 마음을 항상 일으키어 손해(損害)를 더하지 않고 쾌락을 준다는 마음을 일으켜 염불하므로 ‘무손해심’이라 한다. 둘 째, 무핍뇌심(無逼惱心) 염불하는 사람은 신심이 안정되어 .. 불자상식 2018.01.22
한국에 불교가 들어온것은 언제인가? 한국에 불교가 들어온것은 언제인가? 고구려 소수림왕 2년, 이때 서양은 서력 기원 372년 이었다. 순도 스님이 불교를 전해왔다. 신라와 백제는 그 훨씬 이후였다. 백제는 침류왕 원년(서기384)년 인도등 마라난타가 전해 왔으며, 신라는 법흥왕 4년, 서기 572년 묵호자 스님이 불교를 가지고 .. 불자상식 2018.01.21
사찰의 구조 사찰의 구조 일주문 일주문(一柱門)이란 사찰에 들어가는 산문(山門)중에서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문입니다. 일주문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네 곳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덮는 일반적인 가옥 형태와는 달리 일직선상에 세운 두 기둥 위에 지붕을.. 불자상식 2018.01.21
약사전 약사전 약사 여래는 약왕[藥王] 약사유리광 여래[藥師琉璃光如來] 또는 대의왕불 [大醫王佛]이라고도 부르는데, 동방 유리광세계의 교주라고 합니다. 약사여래 부처님을 모신 곳이 바로 약사전(藥師殿)입니다. . <약사경>에 의하면 그는 동방 정유리세계에 있으면서 모든 중생의 질병.. 불자상식 2018.01.21
대적광전(비로전, 대광명전) 대적광전(비로전, 대광명전) 비로자나불(毘盧慈那佛)을 모신 전각을 대적광전 대광명전이라고 합니다. 안에는 보통 비로자나불 뿐만 아니라 삼신불(三身佛)을 모시는 것이 보통인데 대웅전과는 달리 가운데 비로자나불을 안치하고 좌우에 석가모니불과 노사나불을 모시고 있습니다. 그.. 불자상식 2018.01.21
사찰의 구조 사찰의 구조 ▒ 사찰의 의미 사찰의 중심을 이루는 것은 승원(僧院)과 당(堂)입니다. 당은 일반적으로 사원의 중심이 되는 불당을 말하는 것으로 다른 말로는 금당 또는 법당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본래 당이라는 것은 불상을 봉안한 불당이나 법당 뿐만 아니라 경전을 보관하는 장경각과.. 불자상식 2018.01.21
법구 법구 풍경(風磬) 방일함이 없는 경책의 의미 사찰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들리는 것은 바람결에 들려오는 풍경 소리다. 풍령(風鈴) 또는 풍탁(風鐸)이라고도 하는데 법당의 처마나 탑의 옥개 부분에 매달려 소리를 내는 불구로 바람에 흔들려 소리를 내는 유일한 불구가 바로 풍경이다. 형.. 불자상식 2018.01.19
큰절하는 순서 큰절하는 순서 ① 차렷 자세로 합장한 채 섭니다. ② 합장하고 서 있는 자세에서 그대로 무릎만 꿇습니다. ③ 두 손바닥을 땅에 동시에 댐과 동시에 발등이 땅에 닿도록 꿇어앉을 때 취하는 것과 같은 발 모양을 합니다. 그 다음에는 왼발이 오른발 위에 포개져서 X자가 되게 합니다. ④ 이.. 불자상식 2018.01.19
‘오신채(五辛菜)'왜 금지하나 ‘오신채(五辛菜)'왜 금지하나 “악취-음욕 일으키는 부정한 음식” 전통 종교마다 금기시하는 음식이 하나 둘씩은 있기 마련이다.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이슬람교를 비롯해 소를 신성시 여기는 힌두교에서 소고기는 절대 먹어서는 안 될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불교에서도 불살생계를 .. 불자상식 2018.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