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도 보살도 문수보살 대승의 보살가운데 한사람 이보살은 석가가 죽은후 인도에 태어나 반야의 도리를 선양하였다고 하며 항상 반야지헤의 권화처럼 표현되어왔다 반야경을 결집편찬한 보살로도 알려져있다 때에따라서는 경전을 손에 쥔 모습으로 묘사되는 일이 많았다 이보살은 석가모니.. 불자상식 2018.01.22
관세음보살의 여러모습 관세음보살의 여러모습 관세음보살은 범어로 아바로키테스바라(Avalokitesvara)이며 관자재, 관세음, 광세음 등으로 한역하며 대자대비를 근본서원으로 하시는 분이십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석가모니부처님이나 아미타불 보다도 더 많이 신봉되는 분이지요.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절 이.. 불자상식 2018.01.22
십우도 십우도 본래 도교의 팔우도에서 유래된 것으로 12세기 중엽 중국 송나라때 확암선사가 2장면을 추가하여 십우도를 그렸다. 도교의 팔우도는 무에서 그림이 끝나므로 진정한 진리라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이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청거선사가 처음 그렸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불자상식 2018.01.22
산신탱화(山神幀畵) 산신탱화(山神幀畵) 산신은 가람의 외호신(外護神)인 까닭에 사찰의 뒷쪽 외각에 산신각(山神閣, 또는 山靈閣)을 짓고 그 안에 호랑이와 노인의 모습으로 묘사한 산신상이나 산신탱화를 봉안한다. 산신탱화는 독성탱화와 도상면에서 일견 유사한 면도 있으나 엄격한 이미지의 독성과는 .. 불자상식 2018.01.22
時節因緣 時節因緣 불가 용어에 시절인연 (時節因緣)이란 게 있습니다. 모든 인연에는 오고 가는 시기가있다는 뜻입니다. 굳이애쓰지 않아도, 만나게 될 인연은만나게 되어 있고,무진장 애를 써도만나지 못할 인연은만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사람이나 일, 물건과의 만남도,또한깨달음과의 만남.. 불자상식 2018.01.22
기도하는 법 기도하는 법 1. 부처님과 보살님을 정한다. 기도를 올릴 때는 형편에 따라 상황에 따라 부처님이나 보살님을 정하고 기도처 또는 사찰을 정하는 것이 좋다. 혹은 사정에 따라 집이든 직장이든... 물론 대상을 꼭 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목표를 달성하려면 믿고 의지하고 예배드.. 불자상식 2018.01.22
만다라(曼陀羅)花 만다라(曼陀羅)花 부처님 예배 위해 하늘에서 내려주는 꽃비 만다라화 관상용으로 뛰어난 가치 있는 식물 영화 ‘해리포터’에 마법의 소재로 소개 ‘법화경’ 등 수많은 경전 속에 등장 많은 경전 속에서 기적이나 감동적 순간 혹은 경이로운 사건이 일어나는 순간마다 꽃비처럼 쏟아.. 불자상식 2018.01.22
[스크랩] 부처의 손 모양에 담긴 `깊은 뜻` 부처의 손 모양에 담긴 `깊은 뜻` 미(美)의 여로 3 - 수인에 대하여 회화적 표현에 있어서 동양미술, 특히 우리나라 고미술이 서양미술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부분을 하나 꼽으라고 한다면 단연 손, 발의 묘사입니다. 물론 이는 신체를 섬세하고 세밀하게 표현하는 것이 신에 가장 가깝게 .. 불자상식 2018.01.22
[스크랩] 석가탄신일 석가탄신일 (釋迦誕辰日) 부처님 탄생한 날. 초파일(初八日)이라고도 한다. BC 563년 4월 8일(음력) 해뜰 무렵 북인도 카필라 왕국(지금의 네팔 지방)의 왕 슈도다나(Suddhodana)와 마야(Maya)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경(經)과 논(論)에 석가가 태어난 날을 2월 8일 또는 4월 8일로 적고 있으나, 자.. 불자상식 2018.01.22